식이요법과 꾸준한 운동 병행… 약제 투약·수술로 치료하기도

비약물요법을 3~6개월 정도 시행해 보고도 혈청 지질 수치가 정상화되지 않는다면(혈청 총콜레스테롤 220mg%, 관상동맥 질환 등이 있을 때는 200mg% 이상, 중성지방 200 mg% 이상이면) 약물요법을 시행한다.

대부분 스타틴 계열의 지질 강하제를 우선 사용하는데 지질강하 효과가 뛰어나므로 3개월 정도 사용하면 대분 정상치로 떨어지나, 수치가 정상이 되더라도 꾸준히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중성지방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LDL-콜레스테롤이 목표에 도달하더라도 중성지방이 높으면 중성지방 저하제도 병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비만(BMI 30kg/M2 이상) 또는 과체중(BMI 25~29.9kg/M2)은 이상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등의 위험인자를 동시에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클 뿐 아니라, 이러한 위험인자가 없다 하더라도 그 자체로 협심증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만을 극복하는 왕도는 없다.

적게 먹고 운동으로 열량을 소모하여야 하고, 이러한 생활습관이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하여야 체내 습득이 가능하다. 또한, 감정적인 스트레스가 협심증 증상의 발현에 선행하며, 심근경색의 발생에도 직접 관계가 있는 것이 밝혀졌다. 일과 연관된 스트레스는 직장에서의 역할이 불분명하거나, 반복적인 일을 하거나, 직장이 바뀌거나, 실직·퇴직 등의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를 없앨 방법은 없으므로 명상, 요가, 종교 생활, 취미 활동 등을 통하여 최대한 스트레스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앞에서 언급한 위험인자 조절에도 운동 시 흉통이 지속하면 항협심증 약제를 투여받아야 하고, 약제 투약에도 흉통이 지속한다면 관상동맥 중재술(풍선 성형술 및 철망 삽입술)이나 관상동맥 우회로술을 시행 받아야 한다. 안정성 협심증 환자에게서의 관상동맥 중재술 목적은 증상의 개선뿐 아니라 심근경색증의 예방에 있으며, 생명을 연장하는 효과는 없다. 최근에는 당일 입원하여 관상동맥의 협착 정도를 알 수 있는 관상동맥 조영술이 널리 행해지고 있으며, 관상동맥 조영술의 결과에 따라 바로 중재 시술을 시행하거나 관상동맥우회로술을 시행한다.

최근 중재술에 사용되는 약물용출 철망은 재협착률을 5% 이하로 줄였지만 혈관내피세포 재생이 온전치 않아 철망 내 혈전 생성의 위험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철망 삽입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은 평생 매일 중단 없이 약을 먹어야 한다.

   
 

관상동맥의 협착이 좌주간지에 있거나 삼혈관 모두에 있는 경우에 외과적인 관상동맥 우회로술을 해야 한다. 관상동맥 우회로술은 우리 몸의 다른 부위에 있는 동맥, 정맥을 이용하여 관상동맥 혈류를 유지하는 흉부 외과적 수술이며, 흔히 사용되는 혈관은 내유동맥, 복재정맥 등이다. 이런 혈관을 막히거나 좁아진 병변의 원위부 관상동맥에 직접 연결하게 된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 받는 협심증 환자의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약을 매일 빼먹지 않고,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다. 또한, 투약과 함께 중요한 것이 위험인자를 조절하는 것이다. 식이요법은 너무 짜지 않게 하고, 기름진 음식은 피해야 한다. 운동은 주 3회 이상, 30분 정도의 유산소운동이 필요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