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공무원] (27) 창원시 자전거정책담당 하승우 계장

창원시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것 가운데 하나가 '자전거도시'다. 공영자전거 누비자는 국외 수출이 추진될 정도로 성공적인 정책으로 자리 잡았다.

누비자는 지난 2008년 10월 공식 개통했는데, 창원시는 이를 앞두고 자전거 전문가 영입에 나섰다. 그가 바로 현 자전거정책과 자전거정책담당 하승우(35·사진) 계장이다.

하 계장은 앞서 경남·부산 발전연구원에서 교통수요 분석 업무를 담당했다. 본인 입을 빌리자면 자전거 타는 것을 좋아해 부수적으로 자전거 연구를 했다.

   
 

하 계장은 자전거 업무를 전담하는 전임 계약직으로 채용됐다. 채용과 동시에 누비자 개통 업무가 시작됐다. 법·제도를 개척해야 한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많았다.

"너무 짧은 시간에 달성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엄청나 초창기 멤버들 모두 엄청나게 고생했다. 2008년 10월 마침내 개통했지만 기쁨을 느낄 새가 없었다. 개통과 동시에 에러도 많아서 민원이 폭발했다. 예산 낭비한다는 비난이 쏟아졌다. 그 스트레스 때문에 시장님 보는 데서 쓰러져 구급차에 실려가고 난리도 아니었다."

개통보다 더 기쁨을 느낀 때는 2009년 5월 '제1회 대한민국 자전거축전'에서였다. "당시 자전거축전에 이명박 대통령이 왔다. 생각지도 못한 대박을 친 것이다. 국가 원수가 기초단체 행정 성과에 관심을 두고 온 것이었기에 너무 뿌듯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타면서 누비자 이용도 급속도로 확산했다."

이를 기점으로 누비자 안착에 대한 확신도 섰다. 시가 관변단체 등을 독려해 이용하게 한 게 아니라 자발적인 관심과 호응이 확산했다.

누비자가 안착 단계에 접어들자 여러 지자체에서 벤치마킹에 나섰다. 대전·순천·공주·서울·고양 등이 창원시 사례에서 용기를 얻어 공영자전거 도입에 나섰고, 관련 정책인 시민자전거보험은 전국 20개 지자체에서 도입했다.

한 단계 더 나아가 수출까지 추진되고 있다. "지난해 KT 고위 관계자가 우연히 방문했다가 누비자 시스템을 보고 깜짝 놀랐다. 이러한 생활 속 IT 서비스를 적극 활용해 수출하자는 제안을 먼저 했다. 누비자 사례를 소개하러 외국을 방문했는데, 미국 LA·워싱턴에서 도입하고 싶다며 구체적인 조건까지 알아보는 등 러브콜을 보냈다. 수출 성사 여부는 아직 반반 정도다."

통합창원시 탄생 이후 마산·진해지역 주민의 각종 불만이 쏟아지고 있지만 '자전거 이용 하나는 좋아졌다'는 의견이 많다. 하지만 마산·진해지역은 창원지역보다 도로 사정에 한계가 있다.

"사람들은 인프라 개척부터 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는 자전거 붐 조성 후 인프라를 구축하자는 것이다. 인천시 같은 경우 도로부터 닦았다가 실패하기도 했다. 우선 신마산·내서 같이 비교적 자전거 타기 좋은 지역부터 시작해 넓혀가겠다는 것이다. 공무원은 세금으로 운영되기에 기회비용을 허용하지 않는다. 예산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하기에 그런 단계를 밟고 있는 것이다."

현재 안민터널 내 자전거도로도 추진되고 있는데, 매연·소음 차단벽은 당장 추진하지는 않는다. "비용이 100억 원 넘게 든다. 우선은 공간만 분리해 자전거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이용률이 높으면 2단계에서 차단벽을 설치한다는 계획을 두고 있다."

시는 2020년까지 자전거 교통분담률을 20% 수준까지 올리겠다는 계획이다. 통합 전 10% 수준까지 올렸지만, 통합 이후 현재는 가늠이 어려운 상황이기는 하다. 누비자 정책은 확산보다는 안정화에 무게를 두고, 서비스 고급화·안전교육에 심혈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하 계장은 출·퇴근 때 요즘은 추운 날씨 탓에 시내버스를 이용하지만, 그 외는 자전거를 이용한다.

하 계장은 마지막으로 "타 부서도 마찬가지지만, 특히 자전거정책과는 팀플레이가 중요하다. 인터뷰는 내가 얼굴마담 격으로 하지만, 우리 팀 모두의 노력과 성과로 이해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