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끝난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이 너무 떨어져 현장의 비난이 쏟아지면서 지난해의 `수능난이도’악몽이 되살아나고 있다.
이미 수능 당일부터 교육인적자원부 인터넷 홈페이지는 수험생과 학부모의 항의로 완전히 마비돼 8일 내내 접속불능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출제당국이 4~5점 떨어지겠다던 2001학년도는 뚜껑을 열어보니 오히려 26.8점이나 점수가 올랐고, 올해는 출제당국은 16~37점 떨어진다고 했지만 수험생들은 적게는 40~50점, 많게는 60~70점까지도 떨어졌다고 주장해 낙폭이 엄청나다.
“난이도와 변별력은 이율배반적인 관계지만 두마리 토끼를 다잡으려 애썼다”던 안희수 출제위원장의 발표가 무색할 지경이다.
지난해 수능점수가 너무 높았기 때문에 올해 점수 하락폭이 다소 클 수는 있지만 입시기관의 예상대로 40~50점만 떨어지더라도 출제당국이 고수해 온 `적정난이도 77.5점 +-0.5점, 낙폭 16~37점 사이’와는 상당히 차이가 난다.
이에 따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하 평가원) 주도로 진행되는 수능출제 방식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한다는 지적도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94학년도에 수능이 도입돼 97년부터 400점 만점이 된 이래 수능 난이도는 해마다 들쭉날쭉이어서 “난이도는 귀신도 못맞춘다”는 평가원의 궁색한 변명만으로는 역부족이다.
지난해 난이도 실패 이후 평가원은 출제위원단에 일선 고교 교사의 참여를 늘리겠다고 했지만 실제 올해 출제위원으로 참여한 교사는 제2외국어 6명과 사회탐구.과학탐구에서 각 2명등 10명에 불과했다.
아울러 “올해 수험생들의 학업수준을 그다지 감안하지 않고 `수능시험의 항상성’유지에 비중을 뒀다”고 밝힌 출제당국의 원칙도 학생과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논란이되고 있다.
이른바 `이해찬 1세대’로 불리며 보충수업이 폐지되고 모의고사 응시횟수도 제한받고 `한가지만 잘해도 대학간다’고 들어온 올해 고3 수험생들로서는 혼란과 당혹감을 가지는 것이 당연하다.
또 난이도를 조절할 때 출제진들은 “기본적으로 수리는 어려워야한다”는 원칙아래 상위 50%의 성적평균을 전체평균 77.5점보다 7점이나 낮은 70점에 두고 다른 영역의 난이도를 조절, 결과적으로 난이도 실패를 가져왔다는 후문이다.
게다가 “...로 옳지않은 것은.”이라는 부정적인 질문은 수험생들이 한번 더 생각해야하기 때문에 응답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데도 언어영역의 경우 60문항중에3 5개가 부정적 질문이어서 많은 수험생이 시간 부족을 호소했다.
수험생들은 올수능의 난이도는 교육부가 지난 6월 수능과 똑같은 형태로 고3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업성취도 평가나 시도교육청별 학력 평가와도 달랐다고 불만을 터뜨렸다.올수능의 또다른 관심거리는 어려웠던 만큼 변별력이 좋아졌는지 여부.
지난해 수능은 너무 쉬워 점수가 올라갔던 것도 문제지만 전체 수험생 점수 분포가 정상분포를 이루지 못하고 상위권으로 바짝 치우쳐 상위권에서 변별력이 사라졌던 것이 큰 문제였다.
현재로서는 상위권 학생들은 점수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적고 하위권 학생들은 커 변별력이 확보된 것으로 파악되지만 최상위권을 제외하면 상위권 학생들도 모두중위권대로 떨어진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대해 “최상위권 학생들간에 변별력이 없으면 대학들이 본고사를 실시하자고 나설까봐 그들의 편의만 봐 준 것이냐”는 비난여론도 만만치 않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