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온 변하고 겨울잠 자는 젖먹이동물 중 특이한 삶

◇너는 본래 기는 즘생 = "너는 본래 기는 즘생/ 무엇이 싫어서/ 땅과 낮을 피하야/ 음습한 폐가(廢家)의 지붕 밑에 숨어/ 파리한 환상과 괴몽(怪夢)에/ 몸을 야위고/ 날개를 길러/ 저 달빛 푸른 밤 몰래 나와서/ 호올로 서러운 춤을 추려느뇨."

유치환 시인의 '박쥐'라는 시다. 이 시에서 '본래 기는 즘생'이라는 표현이 무척 눈길을 끈다. 유치환 시인은 왜 박쥐를 '기는 즘생'이라 표현했을까? 실제 박쥐를 생각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이쪽도 저쪽도 아닌 간사한 인간을 떠올리게 된다.

◇박쥐의 조상은 누구일까? = '새와 쥐의 중간동물'인 박쥐에 대한 최근의 분류법에 따르면, 곡물이나 열매를 먹는 생쥐(설치류)와는 달리 대부분의 박쥐들은 곤충을 잡아먹는 동물이므로 오히려 고슴도치나 두더지, 땃쥐 같은 식충류(食蟲類)와 가깝다고 본다.

겨울잠을 자고 있는 관박쥐.

박쥐처럼 곤충을 잡아먹는 무리의 조상은 지금부터 7000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말부터 나타났는데, 이 시기 초기에 곤충을 먹는 식충류 무리의 대부분은 땅 위 생활, 땅 속 생활, 나무 위 생활을 하는 종류로 나뉘게 되었다. 그중 나무 위 생활을 한 식충류인 튜파이아(Tupaia)가 박쥐의 조상으로 추정되며, 새로운 먹이를 잡기 위해 날개막, 꼬리막이 발달된 것으로 추측되지만 이를 증명할 수 있는 화석이 없어 가설에 지나지 않는다.

◇박쥐도 겨울잠을 잘까? = 보통의 젖먹이동물은 사람처럼 몸의 온도가 일정한 항온 동물이지만 박쥐는 이와 다르게 계절에 따라 체온이 변하는 이온(異溫)동물이다.

   
 

아마도 박쥐의 먹이인 곤충이 겨울잠을 자니까 먹이가 없는 겨울에는 박쥐도 같이 겨울잠을 잘 수밖에 없지 않았을까?

그래서 박쥐는 스스로 자신의 체온을 낮추어 아주 적은 양의 에너지만을 가지고 겨울을 보내게 되었으리라 추정된다. 이즈음 동굴 속에는 천장에 매달려 깊은 잠에 빠진 박쥐를 발견할 수 있는데, 4월초가 되면 긴 겨울잠에서 깨어날 것이다.

/김인성(우포생태교육원 원장)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