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미디어, 지방선거 판도를 바꿨다

2010년 언론환경은 맑은 날보다 궂은 날이 훨씬 많았다. 이명박 정부의 언론장악 움직임과 조선·중앙·동아 밀어주기는 언론계의 반발과 끊임없는 논란을 야기했다. 그런 와중에도 지역신문지원조례 제정과 같은 단비도 내렸고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로 인한 이상기온은 지난 '6·2지방선거'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경남도민일보는 한 해를 정리하는 의미에서 '2010 미디어 7대 뉴스'를 선정했다.

◇6·2 지방선거 '트위터 효과'

6·2지방선거에서 20~30대 젊은 층의 투표율은 지난 2006년에 비해 5%포인트가량 높았으며, 특히 투표 막판에 20~30대 투표율이 급격히 높아졌다. 이를 '트위터 효과'라고 분석하는 사람이 많다. 이는 '여권 참패'라는 선거 결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트위터(twitter)가 선거법 위반과 정치참여 보장이라는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는데 이는 트위터 사용자들을 더욱 부채질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유권자가 후보자에 대한 지지·반대 등의 글을 올리면 선거법 위반이라고 밝히자 유권자의 자발적인 정치참여에 발목을 잡는다는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결국 트위터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에서 이뤄진 투표 참여 여론의 빠른 전파가 젊은 층의 정치 냉소를 깼고, 소셜 네트워크의 영향력 증대가 기존 언론의 역할을 일정 부분 대신하게 됐다.

1 6·2 지방선거 결과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 트위터.

◇창원·진주MBC 통합 추진

MBC는 지난 3월 8일 마산·진주 MBC 겸임 사장에 김종국 이사를 내정하는 등 19개 지역 계열사와 9개 자회사 사장과 임원에 대한 인사를 단행했다. 김 사장은 방송문화진흥회 사장 후보자 면접 당시부터 지역 MBC 광역화를 주 공약으로 내세웠으며, 이때부터 지역MBC 광역화에 대한 노조 반발은 아직 계속되고 있다. 당시 비상대책위 체제로 전환한 양 지역 MBC 노조는 결국 겸임 사장의 출근저지 투쟁을 벌이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창원MBC는 한발 뒤로 물러섰으며 진주MBC노조와 서부경남지역민은 창원MBC로의 흡수 통합을 반대하는 성명 등 기자회견이 잇따르며 지역사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2 창원·진주MBC 강제 통합을 반대하는 서부경남지역민.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 6년 연장

9월 만료예정이었던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지역신문법)을 6년 연장하는 지역신문지원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이 지난 5월 19일 국회를 통과했다. 그러나 개정법률안 내용 가운데 정부가 신문지원제도 통합 관련 법안을 제출할 경우 이를 재논의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어 앞으로 법안이 안정적으로 운영될지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이 후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을 사실상 무력화하는 시행령 개정안을 내놓자 언론계가 반발하기도 했다.

◇경남 지역신문발전조례 마련

3 경남 지역신문지원조례 제정을 위한 토론회.

지역신문발전지원조례가 지난 9월 16일 경남도의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전국 광역시도에서는 최초로 제정된 조례다. 이에 따라 이르면 내년부터 경남도내에서 발행되는 일간지·주간지·인터넷 신문이 경남도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개별 언론사 한도액은 전체 지원액의 15% 이내로 제한된다. 조례 제정을 위한 토론과정에서 그동안 계도지·홍보비 등의 음성적 지원을 통한 관언유착에 대한 우려는 신문의 난립구조가 계속되고 불량 지역신문의 퇴출구조가 마련되지 못한 일부 지역에서 지자체의 조례제정을 통한 지원은 자칫 새로운 관언유착을 만들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 등 논란이 되기도 했다.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 낙마 관련, 경남도민일보 '1면 반성문' 큰 반향

4 김태호 총리 후보 낙마 관련 경남도민일보 반성문.

사전에 지역언론이 제역할을 했다면 적어도 경남도민까지 덤터기로 자존심에 상처를 입는 일은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이번 일을 계기로 지방권력에 대한 용맹스런 감시견으로 거듭나겠는 내용이었다. '지금껏, 이렇게 솔직하게 자신의 과오를 인정하는 일간지 1면의 헤드라인을 본적이 없다'고 평가를 받으며 두산매거진이 만드는 남성 월간지 <GQ>가 경남도민일보 8월 30일 자 1면을 '올해의 1면'으로 선정하기도 했다.김태호 국무총리 내정자가 각종 비리로 사퇴하자 '권력 감시 역할 제대로 하지 못했습니다'라는 제목으로 편집국장이 쓴 경남도민일보 사과문이 전국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KBS 수신료 인상 반발 확산

올해 초 '수신료 6000원이 적절하다'는 최시중 방통위원장의 말을 시작으로 여러 갈등을 낳은 KBS 수신료와 관련해 지난 11월 19일 KBS 이사회는 3500원으로 현행에서 1000원 인상하고, 광고는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지금 KBS 수신료를 인상하려는 의도가 방송의 공영성 강화와 시청자를 위해 쓰이는 게 아니라 보수 족벌 언론사가 추진하고 있는 종합편성 채널에 특혜를 주기 위한 것이라는 데 문제가 있다.

이에 시민단체들은 지난 86년 독재정권의 '나팔수'였던 KBS에 '시청료 거부운동'으로 응징했던 사실을 똑똑히 기억하고 있는 국민이라며 '단 한 푼도 줄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언론 'MB 눈치보기' 여전

지난 8월 17일은 제869회 PD수첩 '4대강, 수심 6m 비밀'이 방송되기로 예정된 날이었고, 국토부가 법원에 방송금지 가처분 신청을 해 방송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였다. 그러나 오후에 법원이 가처분 신청을 기각하면서 방송을 볼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졌지만, 결국 김재철 사장이 방송 보류를 지시한 데 이어 방송 3시간 전에는 임원회의를 거쳐 방송보류를 공식 결정했다.

하루 전인 16일에는 KBS <추적60분> 제작진이 조현오 경찰청장 내정자의 노무현 전 대통령과 천안함 유족들에 대한 막말 강연 동영상을 확보하고도 낙종하게 된 사연이 트위터에 알려지면서 누리꾼들이 분통을 터뜨리기도 했다. 또 최근에는 국토해양부와 경남도의 '낙동강 갈등'이 사업권 회수라는 극단 조치와 법정 소송으로 이어진 가운데, 이 같은 내용을 담은 KBS <추적 60분> 방송예정분이 사측의 일방적인 보류 지시로 방송되지 못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