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도 울고갈 창원 진해구 토종맛 삼형제가 굽는 '위대한 유산'

삼형제(조성천·조성일·조성래)는 아버지의 위대한 유산을 이어받았다.

'파티쉐 미진 육대점(1972∼)'과 '진해제과(1947∼)'는 30년 넘게 빵을 구웠던 부친이 6년 전 남긴 유산.

부친이 돌아가신 후 삼형제는 '파티쉐 미진 석동점'을 하나 더 열었다.

현재 삼형제는 '벚꽃빵'을 개발해 진해만의 특징을 살린 빵집으로 이어가고 있다.

왼쪽부터 '진해제과' 조성천 씨, '파티쉐 미진 육대점' 조성일 씨, '파티쉐 미진 석동점' 조성래 씨.

큰아들 조성천씨(진해제과)는 영업부장을, 작은아들 조성일씨(파티쉐 미진 육대점)는 기술부장을 맡아 세 빵집의 운영과 관리를 전담하고 있다. 막내인 한국제과기능장 조성래씨(파티쉐 미진 석동점)는 각 동네정서에 맞는 빵과 진해만의 특징을 지닌 빵을 생산, 개발하고 있다.

이들이 굽는 빵은 신선하면서도 지역의 색을 잃지 않는 것이 매력. 세 빵집은 각각 빵 굽는 공장을 운영하며 그날그날 필요한 만큼만 판다. 남는 양은 서비스로 단골에게 푸짐하게 나눠준다. 지역의 색이 있고 정이 있는 빵집. 체인점 빵집의 번성 속에서도, 이 빵집이 지금까지 번성을 누리는 비결이다.

우리밀 케익

◇우리밀빵부터 벚꽃진액 넣은 벚꽃 빵까지 =
얼만 전 우리밀로 만든 빵을 개발한 세 형제. 이 빵은 중앙시장이 있는 파티쉐미진 육대점에서 선보였다. 어린아이가 있는 젊은 부부, 건강을 생각하는 어르신들이 많이 오가는 길목이라 반응을 엿볼 수 있기 때문. 담백하면서도 부드러운 시금치롤케이크는 시장을 오가는 어르신들에게, 초코롤케이크는 인근 고등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은 편. 우리밀로 만들어 재료비는 두 배지만 빵 값은 비슷하다. 인근 지역민들의 정서를 고려해서다.

"아이나 어르신들은 건강을 생각하지만 비싸게 빵을 팔면 부담스러워 하세요. 오히려 마진을 조금 남기더라도 지역민들이 부담스럽지 않게 먹을 수 있게 가격을 설정하는 게 맞죠."

지난해 진해군항제 때 벚꽃 빵을 선보여 화제가 됐던 삼형제. 벚꽃빵은 벚꽃진액을 팥소에 넣어 벚꽃향이 살짝 풍기는 게 특징이다. 진액의 공급이 한정돼있어 겨울엔 대량주문만 받아 배달하고 있다고. 두 달 전 선보인 벚꽃케이크 역시 벚꽃진액을 넣고 반죽하고 그 위에 견과류를 얹어 만든 진해를 닮은 빵. 삼형제가 머리를 맞대 개발한 빵에는 '진해와 지역민의 정서'가 오롯이 담겨있었다.

벚꽃빵

◇진해제과만은 '진해제과'인 까닭은 =
세 빵집 중 가장 오래된 진해제과. 1947년 만들어진 이 빵집은 부친이 1980년에 이어받은 빵집이다. 해군사관학교 바로 옆에 있는 '진해제과'의 빵은 조금 다르다. 지금은 구하기 어려운 튀겨낸 팥빵, 큼직한 도넛 등 '추억의 빵'이 눈에 띈다. 추억 삼아 오는 옛 진해지역민들이 많기 때문이다. '덩치 큰 빵'도 유달리 많다. 군인들의 입맛에 맞춘 빵이다. 이곳은 주말이면 생도들이 쉬고 가던 쉼터 같은 곳. '파티쉐 미진'이라는 이름으로 통일할 수도 있었겠지만, 진해제과만은 그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는 까닭은 진해지역민과 단골들의 요구 때문이다.

"물론 명칭을 통일하면 우리 삼형제가 꾸리는 빵집이 더 알려질 수도 있겠죠. 하지만, 이곳의 어르신들과 옛날 기억으로 찾아오는 이들에게 이곳은 '추억 같은 곳'이죠. 진해제과라는 이름이 없으면 이곳을 찾지 않으실 겁니다. 그래서 그 이름을 남겨뒀죠."

◇지역민의 정서에 푸짐한 정을 담아 = 세 빵집은 체인점과 겨뤄도 손색이 없는 그만의 특징이 있기에 체인점의 경쟁에도 당당하다.

여름엔 팥빙수를, 밤엔 생일축하파티가 펼쳐지는 가정집과 술집으로 케이크를 배달한다. 진해는 용원을 제외하면 길 끝에서 끝까지 빠르면 10분이면 되는 거리라는 점에 착안한 것.

어디를 가나 똑같은 체인 빵집과 달리, 같은 진해지역이지만 세 빵집 모두 그 동네 지역민의 정서를 담고 있는 것도 특징. 어디까지 똑같은 빵이 아닌, 세 지역 유동인구의 성향을 고려한 빵을 개발해 선보이는 것이다. 젊은 층이 많은 파티쉐 미진 석동점은 '카페형'으로, 시장이 있는 파티쉐 미진 육대점은 '건강을 담은 빵'으로, 군인들과 옛 사람들의 추억이 있는 진해제과는 '추억의 빵'으로 공략하고 있다.

삼형제가 앞으로 만드는 꿈은 크진 않지만 진솔했다.

"진해만 해도 지역마다 입맛이 다 다릅니다. 동네 입맛을 고민하고 그에 맞는 빵을 만들어야 한다는 게 아버지의 유언이기도 하고, 우리 삼형제가 빵을 만드는 원칙이기도 하죠."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