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례없는 언론인 대학살 갈수록 악화

'진주MBC 사태'가 5개월째를 맞고 있다. 지역민과 시민단체, 언론의 광역화 반대를 위한 처절한 몸부림에도 MBC와 정부는 틈틈이 '악어 눈물'같은 제스처만 취할 뿐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급기야 MBC 광역화 추진단은 지난 16일 진주·창원MBC 광역화 초안을 발표하며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고 있다. 지난 9일 진주MBC가 노조 간부 3명을 해고하는 등 노동조합 집행부 10명에게 중징계를 내린 뒤 일주일만의 일이다. 유례없는 '언론인 대학살', 그리고 언론노조의 5개월간의 사투, 그간의 사정을 정리해본다. 

   

시작은 지난 3월 8일 MBC 김종국 이사를 마산·진주 MBC 겸임 사장으로 내정한 MBC 인사단행에서 출발한다. 김 사장은 방송문화진흥회 사장 후보자 면접 당시부터 지역 MBC 광역화를 주 공약으로 내세웠으며, 그 첫 사례로 마산과 진주 MBC의 통합을 광역화 시범지역으로 꼽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진주MBC와 마산MBC 노조는 신임 사장의 출근 저지를 위해 노동조합을 비상대책위 체제로 전환하며 즉각 반발에 나섰다.

통합 소식이 알려지면서 서부경남지역 사회단체, 정치권, 지자체에서도 반대 성명과 기자회견이 잇따르는 등 지역사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그러다 3월 30일 마산MBC 지부는 마산·진주MBC 겸임사장 출근저지투쟁을 철회했고, 김종국 사장은 선임 24일 만에 마산MBC로 첫 출근을 하게 된다.

이때부터 마산MBC와 진주MBC의 광역화에 대한 미묘한 온도차가 나기 시작한다. 마산MBC는 7월 1일 창원MBC로 이름을 바꾼다.

서부경남지역민의 진주MBC에 대한 애착은 남다르다. 진주MBC는 서울 본사의 필요에 따라 수동적으로 뚝딱 만들어진 계열사가 아니다. 지역민들의 뜻과 기금을 모아 1968년 5월 31일 진주민간방송주식회사를 설립해 개국했다. 이후 1971년 진주MBC로 명칭을 바꾼다. 여기에 7월 통합 창원시 출범에 따른 지역 소외 위기감까지 더해져 창원MBC로의 흡수통합이 예상되는 광역화 사업에 주민들이 두손두발 들어 반대하는 이유가 있다. 지난 4월 30일 진주MBC 직원에게 지급된 체불 임금이 진주MBC가 아닌 마산MBC에서 지급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사이는 더욱 악화된다.

진주MBC노조는 "엄연히 법인이 다른 개별회사로 진주MBC가 두 회사의 통합을 반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마치 합병된 것처럼 마산에서 진주의 월급을 주는 것은 직원의 자존심을 철저히 짓밟는 도발행위"라며 반환했다.

5월 4일, 김종국 사장은 정대균 노조위원장 등 53명을 상대로 업무방해금지 가처분신청을 냈다. 진주MBC 노조의 광역화 반대 투쟁으로 사장이 50일 이상 출근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노조가 보직 간부 인사조차 무효를 선언하는 등 업무수행을 방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노동조합 또한 5월 10일 사측을 고소했고 법원은 노사 권고를 하면서 김종국 사장은 진주MBC에도 5월 16일부터 출근하게 된다. 출근은 하게 되었지만 김 사장의 행보는 진주MBC 부국장급 이상 직원까지 노조로 발길을 돌리게 함으로써 노조조합원이 대폭 늘어나 '광역화 반대' 목소리에 되레 힘이 실리게 됐다.

노사간 성실한 대화가 필요하다는 법원결정에 따라 노사 협의가 이뤄지는 상황에서 진주MBC가 노조 간부 3명을 해고하는 등 노동조합 집행부 10명에게 중징계를 내렸다. 지난 4월 임금 지급 과정에서 사측에 협조하지 않고 노조에 기밀을 유출했다는 이유로 총무부 회계 담당 직원도 해고했다.

이에 진주MBC 노조는 14일 비상대책위 특보에서 "노사대화가 시작되면서 중단되었던 출퇴근 집회 투쟁을 재개했으며, 외부 단체와의 연대투쟁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모든 수단을 동원해 부당 징계를 무력화시키고 강제 통폐합을 저지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이 상황에서 광역화 초안이 발표된 것이다. 눈과 귀를 닫아버린 MBC 태도에 지역민의 분노 또한 극에 달해있다. 모든 것이 다시 원점으로 돌아왔다. 불신만 갑절로 쌓인 채로.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