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기 속 가득 술 익는 소리

"우리 대에서 끝이 날 것 같습니다." 고성군 개천면 명성리에 있는 개천양조장은 박진호(79)·양영화(74) 부부가 자그마하게 꾸려가는 곳이다. 부부가 머무는 집 한 편에 숙성실과 솥 등이 있는데, 모두 1972년 양조장을 넘겨받았을 당시 그대로다.

수많은 양조장이 현대화 시설을 하나씩 들여놓고 있지만, 개천양조장에는 전혀 없다. 20세기 양조장의 모습을 충분히 가늠해볼 수 있는 곳이다. "옛날 고집 그대로 이런 곳이 전국에 간간이 남아 있겠지요." (박진호 씨)

고성군에는 다른 지역보단 양조장이 많이 남아 있다. 예전에는 면 단위로 하나 이상도 있었던 게 현재 개천양조장, 영오양조장, 배둔양조장, 상리양조장, 하일양조장, 하이양조장, 고성읍 양조장 등으로 족히 7개는 된다고 부부는 일러줬다. 땅에는 인간의 손이 덜 닿았고, 도심으로부터 떨어진 점도 그 까닭이겠지만, 그만큼 막걸리를 빚어내는 장인들이 건재하다는 얘기다. 하지만, 양조장 주인장들은 도통 취재에 응하려 하지 않았다. 개천양조장도 처음에는 마찬가지였다. 부부의 말을 들으니 이해가 됐다.

흙으로 빚은 술독에 담그는 전통방식 그대로 …

 

첫 맛은 순하고 목을 넘어갈 때 톡 쏘는 개천양조장 막걸리.

"15~20년 전부터 양조장이 계속 줄었지요. 나라 경제가 나아져 촌 사람들이 객지로 빠져나가고, 도시 사람들도 소주나 맥주를 찾았으니까요. 식량이 없었을 때는 막걸리는 배부르니까 선호했지, 시골 양조장은 재미가 없어졌지요."

대개 양조장들이 상표도 등록해 놓지만, 이곳 막걸리는 그저 '개천양조장 막걸리'라고 불릴 뿐 이름은 없다. 그럼에도, 근처 연화산에 오르거나 옥천사를 드나드는 사람들이 찾고 있다. 양조장이 사라지면, 가장 안타까워할 사람들이겠다.

 

개천양조장의 숙성실. 술독에서 느껴지는 정취는 20세기 양조장의 그것 그대로다. 열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이불옷을 입혀 놓은 술독.
술독에서 잘 익어가고 있는 막걸리.

부부에게는 새로울 비법이랄 것도 없다. 박진호 씨는 "그냥 술 맛 내는 오래된 노하우"라고 했다. "첫째, 물이 좋아야 하죠. 물은 술의 근본입니다. 둘째, 원료가 좋아야 합니다. 셋째는 정성이지요. 특히, 막걸리의 핵심 가치는 발효입니다. 효모가 살아있어야 제 맛을 내지요. 살균은 막걸리의 본능을 잃어버리는 일입니다."

대를 이을 자식도 없고, 워낙 산 속이라 교통이 불편하기에 넘겨 받을 사람도 없다. 배달도, 택배도 못하고 있다. 사정이 어렵지만, 오시는 손님들한테 할 수 있는 데까지는 술을 담가 드리는 그것뿐이다.

살아있는 그 맛에 산골로 이어지는 발길

첫 맛이 순했던 개천양조장 막걸리는 입에서와는 달리 삼켰을 때는 안에서 톡 쏘는 느낌이었다. "술의 진미는 옹기(술독)에서 나옵니다. 아무래도 쇠붙이를 거치면 맛이 떨어지게 되지요. 무엇이든 흙에서 나오는 맛이 좋지요." 고성군 개천면 명성리 개천초등학교 맞은편에 있다. 055-672-0345.

배달도 안 되고, 택배도 안 되는 개천양조장 막걸리를 쉽게 맛볼 방법은 없을까. 나들이 삼아 연화산에 갔을 때 잠시 들러 술을 받아가도 되겠다. 아울러 도심에서도 개천양조장 막걸리를 마실 수 있다. 창원 중앙동 올림피아상가 1층에 있는 함경도 찹쌀순대(055-279-0460~1)에서다. 큰 사발 하나에 5000원. 순대집 하심화 사장은 지난해 10월부터 개천양조장 막걸리를 내놓고 있다.

 

막걸리와 함께 먹으면 그만인 순대. 개천양조장 막걸리는 창원 중앙동 함경도 찹쌀순대 집에서도 맛볼 수 있다.

"시골 막걸리는 농번기 아니면 유지가 어려울 정도로 많이 안 나간다고 해요. 막걸리 붐이지만, 영세한 지역 양조장은 언제 꺼질지 모르는 호롱불 같은 위기죠." 7년째 손수 순대를 빚고, 국밥도 말아주던 곳에서 막걸리를 팔게 된 까닭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