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조상의 지혜는 첨단 정보화 시대에 사는 지금 생각해도 놀랍다. 옛말을 살펴보자. "문지방에 걸터앉으면 논두렁 터진다" "신발이 엎어지면 재수 없다".

만약에 문지방에 위험하게 걸터앉은 아이를 나무라기만 한다면 분명히 위험할 줄 알면서도 공연히 반발심이 생길 것이다. 그러나 옛날 하늘에서 비가 내려와야 농사를 짓는 천수답인 시대에 논두렁이 터지면 쌀밥은 구경도 못할 터. 스스로 위험한 행동을 자제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신발을 아무렇게나 벗어 보기가 흉한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속담을 만들어 평소 잠재의식 속에 인식시켜 놓으므로 아무렇게나 놓인 신발을 다시 정돈하는 습관을 갖게 하는 것이다. 조상의 슬기와 지혜가 담긴 속담들이다.

날카로운 은유 속 훈계와 배려

그뿐만 아니라 옛날 시어머니들은 장독대에 맨드라미를 심어 1교훈, 1효용, 1방침으로 했다. 맨드라미꽃은 수탉의 볏을 닮아 수탉을 상징했고, 수탉은 때를 맞추어 울어 시간을 알리는 역할에 충실했으므로 1교훈에는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때를 맞추어 장독 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장맛이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1효용은 고추가 없던 시절 김치에 붉은색을 내려고 쓰였다. 원래 붉은색은 악귀의 침범을 막기 위한 색이다. 그래서 울 밑에는 봉선화를 심어 집안에 악귀가 안 들어오도록 했고, 우물에는 앵두나무를 심어 우물에 악귀가 침범치 못하도록 하였다. 장독대에는 맨드라미를 심어 악귀가 침범치 못하도록 하였는데, 그것이 1방침이다.

무언의 교훈적 의미가 담긴 속담이나 습속은 선비사회에서 더 통용이 되었다. 선비는 자신과 가까운 벼슬아치가 명예욕에 치우쳐 권력을 남용하거나 뇌물을 좋아하면 훈계용으로 준치를 선물했다고 한다. 준치는 맛은 있으나 가시가 많아 목에 걸릴 수 있으므로 '맛있다고 먹어대면 반드시 목에 걸리니' 조심하라는 훈계의 의미가 내포된 선물이다. 그래서 준치는 참다운 생선이란 뜻의 진어(眞魚)라는 별명도 얻었다.

벼슬아치 중에 아부 근성이 심해 자기 주관 없이 윗사람 비위나 맞추는 사람이나 속이 좁은 사람에게는 밴댕이를 선물해 비아냥거리기도 했고, 의를 위해 고초를 겪는 선비에게는 절대 굴복하지 말라는 의미로 굴비(屈非)를 선물했다. 원래 이 굴비를 거론할 때는 고려 17대 인종 때 난을 일으킨 이자겸의 일화가 유명하다. 이자겸은 인종에 의해 체포되어 영광 법성포로 유배를 떠났다. 법성포 특산물인 조기 맛을 보고 감탄한 이자겸은 임금에게 진상하고자 했다. 조기를 받은 인종이 이것이 무엇이냐고 묻자 이자겸은 네게는 절대 굴하지 않겠다는 뜻을 담아 굴비(屈非)라고 거짓으로 대답했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조기를 굴비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당장 질책보다 긴 깨우침 남겨

우리는 자기 허물은 생각지 않고 남의 허물을 탓하기 쉽다.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 조상처럼 상대의 자존심을 건드리지 않고 지혜롭게 상대를 깨우쳐 준다면 반발심도 안 생기고 자신의 잘못을 깨치리라 믿는다. 그리고 슬기와 지혜가 담긴 행동은 많은 사람에게 오래도록 교훈으로 남는다.

그 예가 바로 조선 후기 실학자 하백원의 제자, 도공 우명옥이다. 우명옥은 조선 왕실의 진상품을 만들던 경기도 광주분원에서 스승에게 열심히 배우고 익혀 마침내 스승도 못 이룬 설백자기(雪白磁器)를 만들어 명성을 얻은

 
   
 

인물로 전해진다. 그 후 유명해진 우명옥은 방탕한 생활로 재물을 탕진하고서 잘못을 뉘우치고 스승에게 돌아와 '계영배(戒盈杯)'를 만들었다. 이 계영배는 잔의 7할 이상을 채우면 모두 밑으로 흘러내려 버려 "넘침을 경계하는 잔"이라는 속뜻이 있다.

배금주의(拜金主義)가 만연한 오늘날 조상의 슬기와 교훈이 담긴 속담과 습속 하나쯤 되새겨 볼만하다.

/식생활문화연구가 김영복(미국 캘리포니아 주 ASU 부총장)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