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종·타박상·골절 치료 효과

귀뚜라미 울음소리 구성진데 한낮의 날씨는 아직도 여름입니다. 그래도 가을이 온 것을 귀신 같이 알고 매미는 이제 울지 않습니다. 곤충들은 계절 바꾸기가 제대로 된 것 같은데 꽃들은 혼란스러운가 봅니다. 여름 꽃이 한창인가 하면 코스모스가 들길을 덮었습니다. 메밀꽃은 희끗희끗 지고 있고요.

들판의 빛깔은 추석 빛깔로 알맞게 풍성합니다. 아침을 여는 소슬바람에 긴 옷 입고 나섰다가 땀범벅이 되어 돌아오기를 반복하는 날들입니다. 들판은 씨앗을 여물리는 작은 것들의 갈무리로 분주합니다. 길섶 아무 데고 앉아서 풀 줄기 하나 흔들어보면 꽃도 없이 열매 맺은 것들이 우수수 씨앗을 터뜨리기도 하고 안간힘으로 꽃을 피우며 마지막 사명을 다하는 풀들의 비장한 가을이 진지하기만 합니다.

닥풀.
시골 마을을 지나는 길 담장 가에 키다리 닥풀 몇 포기가 머쓱한 듯 서서 줄기 끝에 한 송이 달랑 꽃이 피었습니다. 8~9월에 피는 꽃이라 한창일 법도 한데 한 송이뿐입니다. 따글따글 아직은 따가운 햇빛이지만 바람은 물기 말라 수수잎은 벌써 외로 꼬여 사그락댑니다. 닥풀을 보면 어린 날 할아버지가 가을 준비하던 모습이 떠올라 그리움이 솟습니다. 옛날에는 마을 어귀 곳곳에 흔하던 이 꽃을 귀하게 만나니 반가움이 더하는데요.

이 닥풀은 아욱과의 한해살이 풀로 줄기에는 가시에 가까운 굳센 털이 있고 2m까지 키가 크며 가을이 되면 그 줄기를 잘라 요긴한 생활의 도구로 씁니다. 할아버지는 '에자구'라고 불렀는데요. 식물 중에서 줄기 껍질이 가장 질긴 풀입니다. 그래서 말 안 듣고 애먹이는 아이를 '에자구 같은 놈'이라고 불렀었습니다. 저도 말 안 듣고 뺀질거리면 '에자구 같은 놈'이라며 야단을 맞곤 했었는데요.

해마다 이 맘 때면 대마처럼 키 큰 닥풀 대를 잘라 묶어서 우물가 빨래터에 돌로 눌러 푹 담가 놓습니다. 한 보름쯤 지나고 나면 껍질이 물에 불어서 홀랑 벗어집니다. 그러면 그 껍질의 겉껍질을 벗기고 잘 다듬으면 훌륭한 끈이 됩니다. 나일론 끈이 나오기 전엔 유용한 생활 도구였지요. 할아버지는 이 닥풀 끈 하나로 온갖 것들을 다 만들어 내셨습니다. 지게 위에 얹는 바다리(발채)를 엮기도 하고 거름 소쿠리를 만들기도 했고 또 겨울 우리 썰매를 만들 때나 팽이 줄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어린 마음에 닥풀 꽃이 환하게 피면 팽이치고 놀 겨울을 떠올리곤 했었는데요. 나일론 끈에 밀려서 이젠 닥
 
   
 
풀꽃도 구경하기 어려워져 버렸지만 우리 조상들은 이 풀 하나로 생활도구 뿐만 아니라 귀한 약재로도 썼다 합니다. 약명을 '황촉규'라 하며 뿌리를 이수·산어·해독이나 부종·유즙 분비 장애·이하선염·타박상·골절 등을 치료하는 데 썼다고 합니다. 뿌리는 달여서 물로 마시고, 타박상이나 골절에는 뿌리를 찧어 붙이면 효험이 있다고 합니다.

인간의 쓰임새와 용도에 따라 풀들도 더 많아지거나 사라지기도 하지요. 닥풀이 피어 있는 걸 보면 플라스틱에 밀려난 우리 대소쿠리의 운명을 보는 듯하여 마음이 애잔합니다.

/박덕선(경남환경교육문화센터 운영위원장)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