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은한 ‘달빛 향연’ 나그네를 붙잡고…

▶월인천강(月印千江)을 아는가. 하늘에 뜬 달 하나가 일천 개의 강에 비친다는 말이다.
조선 세종대왕이 지었다는 부처님 찬양가가 바로 <월인천강지곡>인데, 행적을 보지 않고도 부처님의 은혜를 속속들이 알 수 있다는 뜻이란다.
강에 비친 달빛만으로도 능히 달이 중천에 높이 떠 있음을 미뤄 짐작할 수 있다는 것이리라.
남해 망운산을 말하면서 왜 뜬금없이 월인천강을 말하는가. 하지만 보름 즈음해 저녁 무렵 때맞춰 망운산을 찾아 본 이는 그 까닭을 안다.
망운산 정상(785m)이나 바로 아래 있는 망운암에서 달이 떠오르는 모습을 잘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달맞이는 알다시피 해맞이처럼 엄숙하고 장쾌한 맛은 없다. 이글거리는 해가 바다와 운무를 들끓게 하면서 들러붙은 듯이 불꽃을 늘어뜨리다가 갑작스레 쑥 솟아오르는 것과 같은 기막힌 모습을 보이지는 않는다.
다만 작 익은 복숭아 같은 빛을 뿜으며, 조용히 내려앉은 어둠을 살풋 열어젖히며 행여 집집마다 밝힌 불빛을 어둡게 할세라, 마치 있지도 않은 듯이 얼굴을 내민다. 그러고는 바쁜 행인과 발걸음을 맞춰 남쪽으로 이울다가 어둠이 채 가시기도 전에 스러지는 것이 바로 달님이다.
망운암은 그리 굵지 않은 활엽수 사이로 난 길을 따라 오르다 너덜겅을 지나면 나온다. 새로 지은 듯 미륵전과 살림채 두 채가 나란히 있는데 산문쪽에서 좁은 마당으로 몇 걸음 걸어나가다 고개를 외로 꼬면 바다가 모습을 드러낸다.
남해섬과 창선섬 사이에 있는 바다인지라 마치 커다란 호수처럼 물결이 잔잔하다. 오후 7시 30분, 이 바다 위로 달이 떠오른다. 때마침 불어오는 바람이 힘들여 오르느라 맺힌 땀방울을 쓸어내는 가운데 달빛은 물결에 부딪혀 은은히 흩어진다. 도시나 산골에서, 아무런 어울림도 없이 저 혼자 뜨고 마는 달만 보아 왔던 이들에게는 색다른 느낌을 준다.
이리저리 방향을 트는 바람을 따라 물결의 달빛 되쏘는 게 달라지는 느낌이라도 들라치면 마음까지 함께 출렁거린다. 게다가 물결에 어린 달은 하늘에 떠 있는 달 덩어리보다 열 배는 더 커 보인다. 아마 가까이서 보면, 이토록 큰 무리를 이룬 물결 조각 하나하나마다 달이 어리어 있을 것이다.
망운산은 이처럼 저녁 무렵에 올라 달빛을 받으며 밤중에 내려와도 좋은 산이다. 화방사에서 망운암을 거쳐 정상에 이르는 등산길이 넓은데다 허연 돌들이 군데군데 깔려 있어 길을 찾기가 어렵지 않다. 이번처럼 보름달이 뜰 때면 더욱 좋겠고, 그렇지 않더라도 점점이 흩어져 있는 고기잡이배들의 집어등이 정다워 보인다. 물론 랜턴은 반드시 챙겨가야 한다.
한낮에 오르면 꼭대기에서 한려수도를 동서 양쪽으로 한꺼번에 내려다볼 수 있다. 그래서 남해12경 가운데 하나로 꼽히나 보다. 금산 보리암이 너무 이름을 날리는 바람에 실제보다 훨씬 낮은 평가를 받기는 하지만, 통영 한산섬에서 여수 앞바다까지의 맑고 고운 바다와 섬들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곳은 망운산 말고는 없다.
산기슭의 화방사에서 골짜기를 타고 20분쯤 오르면 능선과 마주치는데 여기서 오른쪽으로 계속 길따라 가면 된다. 다시 20분 남짓 가면 너덜겅이 나오는데, 바다가 보인다고 해서 너무 위로 올라가는 것은 좋지 않다.
위쪽에서 바위가 보기 흉하게 망가져 있기 때문이다. 아마 정상으로 가는 길을 내다가 잠시 중단한 것 같은데, 잘 생긴 바위들이 나뒹굴며 서로 부딪혀 깨어졌고 나무들도 이리저리 자빠져 있어 눈살이 절로 찡그려진다.
너덜겅은 이미 망운암 경내다. 여기서 발길을 멈추지 말고 조금만 더 힘을 내면 사방팔방 일망무제로 펼쳐지는 한려수도를 눈이 시리도록 담아둘 수 있는 꼭대기가 나온다.

▶가볼만한 곳

화방사는 망운산 기슭에 있는데 통일신라시대 원효가 연죽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가 이후 한 차례 중창했으나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고 지금은 조선 말기 건축물만 남았다.
화방사는 절에 이르는 길이 인상깊다. 아스팔트 포장이 끝나는 지점에서 절까지 가는 길은 얼마 되지 않지만 흙이 맨살을 드러내고 있다. 대부분의 절집이 마당 앞에까지 콘크리트로 발라붙인 데 식상해 있는 터라 흙길이 반갑다. 또 비탈이 가파른 데는 낡은 침목을 가로로 받쳐 놓아 미끄러지지 않고 오를 수 있다.
들머리에는 채진루가 있다. 얼핏 보기에 옛적 분위기를 간직한 건물로는 유일한데, 아니나 다를까 도 문화재자료 152호로 지정돼 있다. 절 왼쪽에는 산닥나무 집단 자생지가 있다. 천연기념물 152호다. 고급 한지를 만드는 재료로 쓰이는데 잡초와 소나무 때문에 면적이 자꾸 줄고 있단다.
화방사의 자랑거리는 사철 끊이지 않는 시원한 약수. 일대 계곡에서 나오는 물이 남해 군민을 위한 상수원을 이룰 만큼 수질과 수량 양면에서 뛰어나다. 절 못미쳐 대나무 대롱을 타고 콸콸 쏟아지는 약수터가 있고 절 안에도 있다. 절 뒤편으로 꼬부라져 올라가는 등산길에도 두세 군데 약수터가 있다.

▶찾아 가는 길

창원.마산.진주쪽에서 순천 방향으로 남해고속도로를 타고 가다 진교 들머리에서 빠져나오면 된다. 진교에서 남해대교까지는 12km 남짓 된다.
남해대교를 건너서 이어지는 19번 국도를 따라 곧바로 11km 정도 가다보면 오른쪽으로 꺾어지는 지점이 나온다. 들머리에 망운산 화방사 5km라고 적혀 있다. 이 길을 따라가면 다시 왼쪽으로 갈라지는 삼거리가 나온다. 왼편으로 망운산 등산 안내도가 나오는 여기서 좌회전해서 1km쯤 내달리면 화방사에 이른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진주서 남해까지는 차편이 많다.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 20분까지 20~30분 간격으로 하루 43번 있다. 그런데 남해에서 진주 가는 것은 막차가 오후 8시 30분이어서 당일 돌아가는 데 조금은 여유가 있는 편이다.
마산남부터미널에서는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 30분까지 40분~1시간 간격으로 14대가 다닌다. 진주에서 남해까지는 1시간쯤이면 되지만 마산에서 가려면 1시간 40분은 족히 걸린다.
남해읍 공용버스터미널에서 화방사까지는 7km쯤 된다. 사람들은 택시를 많이 이용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