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일 근무제의 도입을 둘러싸고 논란이 한창이다. 지금 한국경제의 실정에서 무리라는 부정적 견해에서 주5일 근무제가 3차 서비스 산업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낙관적인 입장까지 다양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5일 근무제를 한국경제의 고질적 병폐를 고칠 수 있는 계기로 보는 견해는 여전히 소수인 듯하다.
삼성경제연구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주5일 근무제가 실시되면 문화.교육.여행 부문이 활성화되어 약 65만명이 신규 고용될 수도 있지만, 생산비용의 증가로 인해 국제경쟁력이 약화되는 결과를 가져올 경우 국민 모두가 피해자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쉽게 말해 주5일 근무제로 새로운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긍정적 효과는 인정하지만, 경제가 잘못될 때 발생하는 피해는 국민이 책임지라는 논조를 펼치고 있다. 하지만 이 논리에서 기업 혹은 경영진의 책임에 대한 부분은 교묘하게 빠져있다는 것이 결정적인 문제로 된다.
국가경제의 차원에서 국민들이 관심을 가지는 것이 일자리라고 하면, 기업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은 생산성 향상을 통한 이윤확보일 것이다. 일할 의사가 있는 사람들이 고용되어 생계비를 벌어들이면 국가 전체적으로 세수확보는 그만큼 수월해진다. 하지만 기업이 이윤을 확보하는 것은 국가의 책임이 아니라 그 기업을 책임진 경영진에 있다. 게다가 주5일 근무제의 도입을 국민의 절반 이상이 찬성한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사회적 합의가 형성될 경우 기업 경영진에 부담스러운 결정도 나올 수 있다는 점이다.그리고 정부가 국민들에게 구시대적인 생활방식으로 살아갈 것을 강요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환경의 변화에 기업이 적응하는 것이 순리가 아닌가.
주5일 근무제의 실시로 한국경제의 국제경쟁력이 약화될 우려는 분명히 존재한다. 하지만 노동자들이 단위시간당 임금이 낮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장시간 노동을 통해 생계비를 보충하는 식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경제성장 방식에 더 이상 동의하지 않는 상황이라면, 단위시간당 임금상승의 효과가 있는 주5일 근무제에 대한 노동자들의 요구를 더 이상 억누를 수도 없다. 이런 상황에서 경영진은 기업을 고비용 고효율 체질로 빨리 개선해야 할 임무를 가지고 있다. 이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고 시장에서 특정기업이 도태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그 책임의 소재는 일차적으로 그 기업의 경영진에게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