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사를 비롯 부산·울산·대구·경북 등 낙동강수계 5개 광역단체장이 이틀 전에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낙동강 물길 살리기 대정부 건의문을 발표했다. 낙동강 물길 살리기 사업을 국가 주도하에 조기 시행토록 촉구하는 요지다. 세계적 금융위기로 실물경제가 위축되고 서민 살림이 피폐해져 가는 마당에 위민행정에 진력해도 시간이 모자랄 시장·지사들이 서울까지 올라가 운하전도사를 자처하는 속셈이 무엇인지 이해가 안 간다.

그들은 운하에 대한 거부감이 크다는 것을 의식한 듯 대운하 건설과는 성격이 다르다는 사족을 다는 것도 잊지 않았다. 물길을 살린다는 것이 무슨 뜻인가. 상수원인 낙동강 강물을 오염으로부터 해방하자는 뜻인가. 그렇다면, 쌍수를 들고 환영할 일이다. 주장하는 바의 요구 사항에 그런 방법론은 없다. 다만, 강과 수변 지역 개발만이 강조되고 있을 뿐이며 그에 따른 물류와 관광유인 효과만 드러나고 있을 뿐이다. 그게 운하계획이 아니라면 물경 33조 원으로 계상된 예상 사업비의 출처는 어디에 근거하는가.

항구적인 홍수대책과 근본적인 수질개선, 생태계복원이 물길 살리기의 논거로 제시됐는데 그동안 운하를 해서는 안 된다는 절대다수의 여론과 거기에서 논증된 반대의견과는 상반된 것이다. 홍수는 치수에 의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데 이의가 있을 수 없지만, 운하로 치유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 수질개선 역시 운하건설의 당위성을 주장할 명분은 못된다. 오히려 더 나빠질 것이라는 예측론이 지배적이다. 운하로 생태계를 복원하겠다는 발상은 억지에 가깝다. 낙동강 생태계는 댐과 폐수로 말미암아 만신창이가 돼 있는 상태지만 운하가 만들어지면 전면적인 교란 국면 속에 빠질 것이다.

낙동강 수계 5개 광역단체장이 왜 이렇게 운하 불길을 지피려고 안달인가. 지자체의 권한과 능력으로는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강변하는 이유는 밑으로부터의 압박을 구실로 정부가 움직이는 것을 명분 주려 함인가. 그 진의가 알쏭달쏭하다. 그러나 그 어떤 이유로도 운하가 자연과 생태계에 끼치는 해악을 감추게 할 수는 없다. 낙동강은 오늘을 사는 우리가 지켜야 할 생명의 강임을 정녕 모르는가.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