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은 새해의 첫머리며 첫날이다. 설은 묵은 해를 떨쳐버리고 새로 맞이하는 한해의 첫날이며 첫머리다. 그래서 나이 먹기 서러워 일반적으로 슬프다는 뜻으로‘섧다’에서 기인한 것.

또한 근신의 의미인 삼가다, 조심하여 가만히 있다는 뜻도 담고 있다. 이는 새해에는 아직 익숙하지 못한 날이므로 새해라는 시간질서에 통합되기 위해서는 조심하고 삼가야 된다는 뜻을 강조한 것이다.

설날은 섣달 그믐날 밤의‘수세’로 시작된다. 수세는 설날 전 온 집안에 등잔불을 환하게 켜놓아 마치 대낮 같이 밝히고, 밤새도록 자지 않는 풍습을 말한다.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지금은 거의 사라져가고 있는 풍습 중의 하나이다.

설날 아침에는 조상을 모시며 한해의 시작을 알리는 차례, 성묘, 그리고 세배의 예(禮)를 차린다.

세배는 새로운 시간을 맞이한 사람들의 의례적인 행위이며, 조상에게 새로운 시간을 맞이하였음을 알리는 의례이기도 하다. 그래서 세배를 주고받는 사람들은‘덕담’으로 새해에 전개될 새로운 시간의 건강과 복을 빌어주며, 조상의 묘소와 사당에 세배한다.

제사는 다례와 성묘로 대별되는데 설날 아침 일찍 사당이나 대청에 설음식인 세찬(歲饌)과 설 술인 세주(歲酒)·떡국 등을 마련하고 제사지내는 것을 차례라 한다. 조상 묘를 찾아가 간단한 세찬과 세주를 차려놓고 예(禮)를 올리는 것을 성묘라고 한다. 설 차례는 떡국차례라 하여 떡국을 제수(祭需)로 올리는 것이 상례이며 그 밖의 제수는 기제사와 마찬가지이다.

앞서 말한 이 같은 예들이 종적인 인간관계의 갖는다면 각종 민속놀이는 횡적인 연대감을 강화하는 의식이다. 설날 민속놀이에는 투호던지기·널뛰기·윷놀이·연날리기 등이 있다.

설이 언제부터 우리의 명절이었는지 명확하게는 알 수 없다. 〈수서〉를 비롯한 중국의 사서들에는 신라인들이 설날 아침에 서로 하례하며 왕이 군신을 모아 잔치를 베풀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고려사〉에도 구대속절(九大俗節)의 하나로 기록되었고, 조선시대는 4대 명절의 하나로서 설은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