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질 조직개선 위한 구조조정 돌입





경비 절감과 체질 개선을 내세운 구조조정으로 사업장에서 인원감축이 잇따르면서 창원공단이 불안감에 싸여 있다.



97년 IMF 이후 부도와 화의·법정관리가 줄을 이으면서 지난 3년 동안 개별 기업은 물론 산업 전체가 이른바 체질·조직 개선을 위한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이같은 구조조정의 최종 결과가 최근 들어 인원 정리 형태로 나타나게 된데다 최근 경기가 나빠지면서 고용불안은 더욱 심각해지는 양상을 띠고 있다.



태광특수기계는 지난해 10월 경남은행의 화의인가 부동의와 법원의 파산선고로 200여 명이 한꺼번에 일자리를 잃었으며 이 가운데 50여 명은 경남은행 본점 앞에서 3개월째 농성 중이다.



주택공사 자회사인 한양공영 창원공장도 정부의 민영화 계획에 따라 해외매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지난해 11월 타워크레인 부서 노조원 40여 명을 해고한 데 이어 엘리베이터쪽 인원 50여 명에 대한 대책도 마련되지 않아 노조가 천막농성을 벌이고 있다.



한국중공업의 경우 지난 10일부터 관리직 사원 440여 명에 대해 사실상 인원 정리 절차에 들어갔으며, 3월로 예상되는 두산의 경영권 장악을 전후해 생산직에 대한 대규모 구조조정도 뒤따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노조 관계자는 “회사는 이미 500명을 웃도는 사내 협력업체에 대한 계약을 해지하고 직영 사원을 배치하는 한편 지원 인력을 생산 현장으로 전환배치하고 있다”며 “노조는 이를 대규모 인원정리의 신호탄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8월 최종 부도를 맞은 동명중공업은 11월 29일 화의인가가 날 때까지 470명이던 노조원이 400명 선으로 줄어든 가운데 회사는 50명을 더 줄이고 상여금 200%도 반납하거나 성과급제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노조는 이같은 인원 감축에 반대하면서 대신 장기 휴직을 희망하는 사람을 모집하되, 20명에 못 미칠 때는 계획 자체를 취소할 것을 제안, 노사 합의로 19일까지 신청을 받고 있다.



지난해 사회적으로 커다란 충격을 던진 대우자동차는 창원공장의 경우 국민차 등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겉으로 드러난 양상은 상대적으로 덜 심각한 편이다.



하지만 회사는 노조 반대에도 아랑곳없이 일용직 200명에 대한 정리 방침을 진행 중인데다 부평공장 300명의 창원공장 전환배치도 추진하고 있으며 ‘희망 의원면직’이라는 명목으로 퇴직 신청까지 받고 있는 실정이다.



쌍용자동차 창원공장도 지난해 12월 관리직 57명을 권고사직시킨 데 이어 12월 1일자로 정식 채용하기로 했던 고졸 실습생 83명도 그대로 돌려보냈다.



노조는 이에 맞서 15일 가량 투쟁을 벌였지만 결국은 이들이 졸업과 동시에 실업자로 전락하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경남금속도 지난해 11월부터 2개월 동안 부서별로 전면 또는 순환 휴직을 실시했으며 올들어 정상 출근을 하고는 있으나 일거리가 크게 줄어든 상태여서 현장에는 ‘조만간 인원 정리가 있을 것’이라는 소문이 무성하다.



게다가 회사는 적자폭을 줄이려면 긴축 경영을 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어서 얼마 안 있어 노사 협의 요청이 들어올 것으로 노조는 예상하고 있다.



200명이 채 안되는 규모인 아주금속도 지난해 12월 “화의업체일 뿐 아니라 근속연수도 높아 부담이 크다”며 40명을 잘랐고 92년부터 고용불안을 겪고 있는 통일중공업도 1개월 이상 장기 휴직자가 50명 이상 된다.



현대모비스(전 현대정공)도 “작업 물량이 없다”며 비용절감을 위해 연월차 휴가를 사용하라고 종용하는 정도여서 이보다는 사정이 덜하지만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또 관리직을 대상으로 부서 통합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져, 노조는 인원 정리를 위한 전초 작업일 가능성도 있다는 판단에서 사태 전개를 주의깊게 관찰하고 있다.



민주노총 등 노동계는 “구조조정에다 최근 경기 침체까지 겹쳐 현장에서 느끼는 불안감은 IMF 직후보다 더하다”며 “인원정리에 앞서 경영부진을 불러온 경영진이 먼저 사재출연·주식 양도 등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생존권이 걸린 문제인만큼 양보할 여지는 없으며, 지금처럼 일방적으로 추진할 경우 노동계의 저항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어서 고용불안을 둘러싼 노사 대립은 올해에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