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제 2캠퍼스 이전 결정을 위한 대학구성원 투표가 계속 지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부산발전연구원이 “부산 발전을 위해서는 김해와 양산을 시역으로 편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나섰다. 이 두가지를 연결시켜보면 계속되는 투표지연이 뭘 의미하는 지 자명하게 드러난다.
박재윤 부산대총장이 추진중인 ‘제 2캠퍼스 양산이전’에 부산시가 딴지를 걸고 나서고, 이를 지지하는 분위기가 점차 확산되면서 후보지 결정 투표가 미뤄지고 있는 것은 바로 양산을 부산시역으로 편입하겠다는 부산시의 장기적인 계획에 시동이 걸렸으며, 후보지 결정문제가 이러한 계획 달성의 대상물로 다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립대학교의 시역외 캠퍼스 이전은 다른 지역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경북대학교의 사례가 바로 그러하다. 그러나 부산시는 부산대가 양산시와 물금 신도시에 제 2캠퍼스를 조성한다는데 합의까지 하고 난 이후에야 물금 신도시에 견줄만한 대안도 없이 양산 이전을 저지하고 나섰다. 이후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라는 원칙론이 대두되면서 후보지 결정은 대학구성원들의 투표에 맡겨졌다. 하지만 투표는 교수단과 대학본부가 이견을 보이고 학생과 교직원들까지 자기 주장을 내세우는 바람에 조금의 진척도 보지 못하고 있다. 급기야 대학본부가 강행한 우편투표는 투표도중에 중단되기에 이르렀다.
성사직전까지 갔던 일이 이처럼 갈피를 못잡고 있는 것은 두말할 여지 없이 부산시가 적극 개입한 결과다.
일이 이쯤 되고 보니 당초 부산시가 대안도 없이 양산이전을 반대하고 나선 주 배경이 확연하게 드러나고 있다. 양산을 부산시역으로 편입시키겠다는 의도가 바로 그것이다. 대학에서 공부를 해야할 학생들의 편의나 대학측의 발전구상, 재정 여건 등을 일체 고려하지 않고, 이 모두를 지역이기주의의 뒷전으로 돌리는 부산시의 처사는 참으로 딱하다. ‘국립 부산대학교는 부산에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대학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인근 지역을 삼키기 위한 방편이었다는 사실은 은은한 분노까지 불러 일으킨다.
이제 경남도와 경남도민들은 부산시의 의도가 확실하게 드러난 만큼 캠퍼스 이전문제를 더 이상 ‘관여하기 어려운’ 껄끄러운 문제로 놓아 두어서는 안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