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장대응·조사범위 한정 신빙성 의문 제기

마산·창원환경운동연합은 이번 경남도의 ‘마산만 숭어 떼죽음 원인 발표’를 두고 행정의 대응활동에 아쉬움이 많다며 그 내용을 조목조목 짚고 나섰다.

마창환경련은 “마산만 봉암개펄에서 발견된 죽은 숭어떼는 마산만 살리기의 암담한 현실과 미래를 보는 것 같아 참담한 심정”이라며 “이번 일에 대처하는 행정의 소극적인 대응방식과 심각성에 대한 인식정도는 숭어 집단폐사 원인이 ‘미궁’으로 남을 수밖에 없는 여러 이유중의 하나”라고 지적했다.

▲ 지난 2일 봉암개펄에서 발견된 죽은 숭어떼. 경남도는 숭어 폐사가 폐수나 유독물 때문이 아니라고 밝혔다.
△늑장대응과 수질검사 신빙성 의문
= 마창환경련은 죽은 숭어떼를 발견한 시점은 2일 오후 2시였지만 남천과 창원천을 탐문조사한 결과 죽은 숭어들이 오전 9시부터 밀물에 밀려 왔다는 낚시꾼들의 증언을 확보했다고 밝히고 폐사 추정시간은 오전 9시 이전이라고 주장했다.

마창환경련은 오후 2시 ‘환경신문고 128’에 신고전화를 했지만 정작 행정이 현장에 출동, 원인분석을 위한 채수와 가검물 채취, 사체 수거활동에 들어간 것은 오후 4시 이후였다며 늑장대응을 지적했다.

더불어 마창환경련은 죽은 숭어떼가 남천 삼동교 아래에서 봉암천, 두산중공업 앞까지 넓게 퍼져 있었고, 당시 마산만 물때를 고려해 볼 때 폐사지점은 마산만 안쪽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마창환경련은 하지만 “분석을 위한 경남도의 채수는 남천과 창원천 합류지점에서만 이뤄졌다”며 “이미 몇 차례 밀물과 썰물이 반복돼서 채수 성분검사가 실제 얼마나 신빙성이 있을지 모르겠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따라서 마창환경련은 채수지점을 적어도 추측가능한 폐사원인을 감안해 창원국가산업단지 주변은 물론 자유무역지역까지 넓혔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한정된 조사범위 = 마창환경련은 마산만 어류 집단폐사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다각적인 검토가 이뤄져야 했지만 경남도의 대응은 여기에 미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마창환경련은 “경남도와 창원시, 낙동강유역환경청이 3일부터 함께 한 특별점검은 폐수배출업소 및 유독물 사용업소에만 한정돼 그 조사대상이 남천 주변 창원국가산업단지 20여개 업체에만 국한됐다”면서 “마창환경련이 특별점검 지역을 자유무역지역과 주변 공업지역까지 확대할 것을 도에 요청했지만 반영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마창환경련은 따라서 “장마철인 점을 감안해 경남도의 조사는 공장폐수를 포함, 분뇨·오폐수·비점오염원(양식장·야적장·농경지배수·도시노면배수 등과 같이 광범위한 배출경로를 갖는 오염원) 과다 유입 등을 고려해 분뇨처리선, 하수관거, 하천바닥, 개펄, 마산항 주변 산업현장 등을 모두 포함했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수질오염 심각성에 무덤덤 = 마창환경련은 이번 ‘숭어 떼죽음’에 있어 원인을 분석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행정의 의지가 얼마나 있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마창환경련은 “경남도는 숭어떼 집단폐사 원인을 서식지 환경의 급격한 악화라고 결론짓고 있지만 서식지 환경을 악화시킨 구체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여전히 밝히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 뒤 “2007년 마산만연안 오염총량제에 대비해 강력한 행정력과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한다면 앞으로 또 다른 ‘미궁’은 되풀이 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마창환경련은 “오염물질 유입처에 대한 파악과 서식처 환경조사 및 개선책, 오염원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마산만 수질개선과 생태계 안정성은 결코 이룰 수 없다”면서 △사전예방과 재발방지를 위한 민관합동 정기점검 △마산만 및 마산만 유입하천 오염감시원 배치 △마산만 주변 환경관리실태 조사 및 관리감독 등 행정의 적극적인 몫을 촉구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