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을 비롯한 전국 각 지역의 고교 교사들이 국가의 교육과정을 거부하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 내년 고교 1학년까지 확대될 7차교육과정이 고교교육의 혼란은 물론 교육불평등구조를 확대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현재 이 교육과정을 도입하고 있는 초등 1~4학년, 중학교 1학년에서도 그 폐해가 노출되고 있는 가운데 입시위주 교육체제인 고교로 풍토로 볼 때 7차교육과정의 고교도입은 오히려 혼란만 가중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7차교육과정이란 = 7차교육과정의 목표는 국가에서 일방적으로 만들어주는 교육과정의 틀에서 벗어나 일선 학교와 교사들이 자율적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해 나가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 가운데 핵심은 학생들의 능력에 따른 수준별 교육과 학생들의 교과선택권을 들 수 있다.
즉, 학습부진아의 양산을 막기 위해서라도 학생들의 수준 차이에 따른 평등한 교육기회를 부여하고 학생들에게 자신 적성에 맞게 교과목을 골라 학습할 수 있는 학습선택권을 부여하자는 것이다.
△교육현실과는 대조= 그러나 교사들에게 새로운 교육과정의 변화는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이 사실이다.
7차 교육과정의 교과목 통합에 따른 교과난이도 상승, 재량활동의 확대, 탄력적인 교과목 운영, 학생들의 수준별 차이에 대한 적절한 학습안배 등은 교사들에게 초인적인 교과목 연구와 학생 개개인의 능력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학급당 학생수가 40명에 가까운 교실과 실험실습 및 소집단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과 기자재 부족, 각종 잡무 등에 뺏기는 학습연구시간, 교과목 선택에 따른 교원 수급 문제 등 현실적 장애물이 한두가지가 아니라고 교사들은 지적하고 있다.
수준별 학습의 경우 우수학생은 심화반, 부진아는 보충반으로 나눠 이동수업을 받는다고 하지만 사실상 우?열반으로 갈린 학생들간의 갈등은 고교에서 더 심해질 것으로 교사들은 예상하고 있다.
20%의 우열학생과 80%의 열등학생으로 갈려 교육에서도 20대 80의 사회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교사들은 걱정하고 있다.
또 선택중심의 교육과정이 고교서열화를 불러올 것이라고 교사들은 주장하고 있다.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대학 수강신청처럼 학생들이 원하는 교과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학생들이 압도적으로 선호하는 외국어나 공학분야의 과목을 개설한 학교와 소수학생이 선택하는 인문?사회?자연과학이나 예체능분야를 개설한 학교간 차이가 생겨 동일 학교 안에서도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긴다는 것이 교사들의 우려다.
△현재 = 교사들은 7차교육과정 자체를 전면 수정고시할 것을 교육인적자원부에 요구하고 있다. 또 여기에 교원노조나 교원단체가 직접 참여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교육인적자원부는 7차교육과정을 수행하는 데 따른 교사들의 경험부족과 재정, 시설설비 등 교육환경의 미비 등 현실을 충분히 고려, 최근 7차교육과정을 탄력적으로 운영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수정고시는 절대 반대라는 입장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교육인적자원부와 교사들이 힘겨루기로 인해 정작 피해는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에게 돌아가고 있는 만큼 양측 모두 7차교육과정에 대한 재공청회 및 대화 등이 절실하다는 것이 교육계 안팎의 의견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