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딛는 걸음마다 ‘파란’…든든한 배후는 ‘독자’

‘경남을 떠나 봐야 경남도민일보의 존재가치를 알게 된다.’ 언론재단이나 관련 학회·단체의 연수나 토론회 등에 다녀온 경험이 있는 기자들이 종종 하는 말이다. 맑은 공기를 마음껏 마시고 사는 사람들이 오히려 공기의 소중함을 모르듯, 정작 경남에 사는 사람들은 올바른 언론의 진가를 알기 어렵다는 것이다.

△경남을 떠나봐야 알게 되는 가치 = 물론 아직도 경남도민일보는 고쳐야 할 점도 많고 해결해야 할 과제도 쌓여 있을 정도로 많다.

그나마 언론환경이 좀 맑은 편에 속한다는 경남·부산지역에서는 느낄 수 없지만, 전국에 워낙 문제 있는 신문들이 많다 보니 상대적으로 경남도민일보가 언론개혁의 모델로 부각되고 있는 정도라는 것이다.

어쨌든 그런 결과로 경남도민일보는 ‘지역신문 발전지원 특별법’에 의해 전국 106개 지역신문사에 대한 종합 평가 결과 2년 연속 최우수로 선정됐다. 이 덕분에 경남도민일보는 더욱 체계적인 기자 재교육과 공공저널리즘으로서 질 높은 기획보도를 할 수 있는 지원을 받게 됐고, 깔끔한 지면을 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시설지원도 받게 됐다.

하지만 그런 지원보다 더 큰 성과는 2년 연속 최우수 지역신문 선정에 따라 내부 구성원과 주주·독자들이 갖게 된 ‘자부심’이었다. ‘그깟 자부심이냐’ 할 수 있겠지만, 사실 그 의미는 작지 않다. 그동안 경남도민일보 구성원들은 솔직히 ‘독립운동하는 심정’으로 신문을 만들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너희만 백로고, 우린 까마귀란 말이냐’ ‘사람이 이슬만 먹고 살 수 있나’ ‘너무 깨끗한 물에는 고기가 살지 않는다는 것도 모르느냐’는 둥 온갖 비아냥과 함께 ‘이상은 좋지만 저런 식으로 신문을 만들다간 몇 개월 못가 망할 것이다’ 는 비난과 왜곡·선동에 이르기까지 안 들어본 말이 없었다.

이런 과정에서 지난 2003년에는 도저히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경영상황 때문에 내부에서 정체성 위기가 발생했고, 경영진이 스스로 사퇴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2003년 경영위기, 그리고 도약 = 하지만 그 일을 계기로 전국 신문사 최초로 ‘편집규약’을 제정, 경영과 편집의 확실한 분리를 제도화하는 한편 ‘노사공동위원회’를 통한 노동조합의 경영참여를 이뤄냄으로써 전화위복의 발판을 만들어냈다. 이를 통해 2004~2005년 연속으로 창간 이후 최고 매출을 달성하는 한편 지역신문 종합평가 최우수라는 성과를 이뤄냈던 것이다.

따라서 이는 경남도민일보 내부 구성원들에게 처음으로 그동안의 노력에 대한 ‘외부의 객관적인 기관으로부터 평가를 받은 것’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최소한 지난 세월의 고생이 ‘헛된 자위행위’는 아니었음을 증명 받았다는 것이다.

△관행과의 투쟁, 전국의 모범으로 = 이후 도민일보는 지역신문의 가장 안정적인 수입원이었던 지방자치단체의 ‘계도지’ 예산을 스스로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이를 ‘관-언유착의 고리’로 규정한 후 시민단체와 함께 폐지운동을 벌였다. 결국 전국 최초로 경남에서는 계도지 예산이 일거에 사라졌다.

관행과 투쟁한 7년…2년 연속 최우수 지역신문 ‘전국 모범’ 으로

또한 전국 최초로 ‘지역밀착보도’와 ‘시민참여저널리즘’을 선포하고 공세적으로 연합뉴스가 공급하는 이른바 ‘중앙 뉴스’를 지면에서 없앴다. 대신 1면 머리기사부터 철저히 로컬뉴스를 배치함으로써 또 한번의 신선한 바람을 일으켰다. 그 후 7년이 지난 지금은 지역의 다른 일간지에서도 ‘중앙 뉴스’가 1면 머리에서 사라졌다.

지역일간지 사장들이 이른바 ‘폼’으로 생각하고 꼬박꼬박 거액의 회비를 납부하고 있는 한국신문협회를 ‘족벌·재벌신문의 기득권 수호집단’으로 규정하고 과감히 탈퇴한 것도 전국에 파란을 일으켰다.

전국에서 가장 강력한 사원윤리강령과 기자실천요강, 편집규약, 선거보도준칙 등 기자윤리와 보도윤리에 대한 제도 또한 전국 모든 신문사들의 벤치마킹 대상이 됐다.

심지어 2004~2005년 지역신문발전위원회에 제출된 편집규약 중 상당수가 경남도민일보의 그것을 그대로 베끼거나 모방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심지어 일부 신문사의 경우 베끼는 과정에서 몇몇 조항 안에 있는 ‘경남도민일보’ 제호를 고치지 않고 그대로 제출한 웃지 못할 해프닝까지 있었다는 후문이다.

특히 창간 때부터 회사 정관에 규정해놓고 운영해오고 있는 ‘지면평가위원회’는 한국 신문 역사에 새로운 틀로 정착됐다. 당시까지만 해도 지면평가위원회가 있는 신문사는 경남도민일보가 유일했지만, 이후 이를 모방한 ‘독자위원회’ 등이 다른 신문사에도 줄이어 생겼고, 마침내 지역신문특별법과 신문법에도 이 위원회 구성과 운영을 규정해 모든 신문사에 일반적인 기구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도민일보의 배후에는 그들이 있다 = 이런 과정에서 가시밭길도 적지 않았다. 친일·독재부역 논란을 빚은 이은상·조두남 기념관 건립에 끊임없는 비판보도를 해온 과정에서 명예훼손 소송을 당해 1년여 간의 법정 투쟁 끝에 승리한 일이라든지, 선거법 위반 사건을 끈질기게 보도하다가 지자체 행정 광고를 아예 받지 못했던 사연 등은 드러난 일부 사례에 불과하다.

이른바 ‘광고탄압’이라 할 수 있는 일은 부지기수로 많았는데, 이로 인해 내부에서도 ‘너무 융통성이 없는 것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킬 정도였다.

그러나 경남도민일보는 ‘광고 때문에 붓을 꺾어야 할 신문이라면 차라리 없는 게 낫다’는 각오를 영원히 갖고 가고자 한다. 어차피 직원들의 의지와 관계없이 경남도민일보는 그럴 수밖에 없다. 창간 자체가 ‘의거’라고 했듯, 이 신문사는 100여명 직원들만의 소유가 아닌 6300명에 이르는 도민주주, 나아가 언론개혁을 열망하는 모든 독자가 주인인 ‘사회적 소유’의 신문이기 때문이다.

이들 주주와 독자들은 2003년 경영위기 때는 물론 명예훼손 소송, 2005년 독자배가운동 등 경남도민일보가 어려움에 처하거나 도움을 필요로 할 때마다 들고 일어나 기꺼이 피와 살점을 떼어주었다. 아마도 전국의 신문사 중 ‘독자모임’이라는 단체가 있는 회사도 경남도민일보가 유일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