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 하천살리기 워크숍서 주장

“마산 도심하천을 제대로 살리기 위해서는 짧은 유로연장이나 하천 경사가 급한 점 등 하천특성을 고려한 복원사업이 필요하며 더 이상의 하천복개는 절대 안 된다.”

28일 오후 7시 마산 양덕동 마산YMCA 청년관에서 열린 ‘마산 하천 살리기 워크숍’에서 (사)시민환경연구소 이상용 연구실장은 하천 복원사업에 있어 마산하천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할 것과 하천관리방식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생태하천 복원을 위해 행정주도형 복원사업에서 벗어나 민·관협력체제의 구축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마산의 주요 도심하천은 창원과 달리 하천의 평균 유로연장이 4.4㎞로 매우 짧은 편인데다 발원지가 무학산이어서 경사가 급한 특징이 있다”며 “이 때문에 하천수가 마산만으로 빠르게 흘러들어 하천의 오염물질 자정능력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도심하천 오염·유지수량 감소 주요 원인

이 실장은 또 “최근 들어 많은 도심하천 터가 주차장이나 도로, 상가로 둔갑하는 등 하천복개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이같은 하천복개가 도심하천의 오염을 부르고 하천 유지수량 감소의 주요원인이 돼 결국 마산만 오염으로까지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이 실장은 복개된 하천은 태양에너지 전달의 차단으로 생태계가 파괴 돼 죽은 하천으로 변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하천복개는 없어야 하며 현재 복개하천들도 원상복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제방을 높이거나 둔치를 정비하는 등 자연재해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치수 중심 하천관리에서 이제는 하천 유지수량을 늘리고 하천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생태 중심의 하천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실장은 이를 위해 마산하천살리기시민운동본부(가칭)와 같은 민·관협력체 발족을 제안했다. 하천복원사업이나 이후 지속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주민들의 참여가 필수이기 때문이라고 이 실장은 이유를 밝혔다. 현재 하천살리기시민운동본부가 활동하고 있는 지역은 부산과 인천 단 2곳뿐이다.

이 실장의 발표에 앞서 김재현 경남대 교수는 ‘일본하천탐사활동 보고’를 통해 주민참여가 이끌어 낸 일본의 하천 살리기 성공사례를 발표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일본은 1990년대부터 행정과 더불어 주민이 참여한 하천 살리기 운동이 시작됐다. 이어 1997년 하천법개정을 통해 주민참가절차를 제도화하면서 본격적인 주민참여형 하천 살리기 운동이 전개됐다고. 김 교수는 사이다마현의 구로메강이나 사가현 마친무라강의 습지복원사업, 와카미야타, 바치, 온가강 복원사업을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꼽았다.

생태하천 복원 민·관협력체제 구축 제안

김 교수는 “도심하천을 살리는 것은 도시를 살리는 길이며 도시에 대한 애착과 애향심을 높이는 다양한 이점이 있다”며 “일본하천의 모습을 보면서 민과 관의 협력이 꼭 필요함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현재 마산시는 자연생태하천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이에 대한 타당성 조사 및 기본설계를 경남지역개발연구원에 용역을 맡겨 둔 상태. 이를 위해 시는 2억원의 추경예산도 확보했다. 마산시는 용역이 마무리되는 내년 7월께 9개 도심하천 중 1곳을 선정, 시범적으로 자연생태하천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