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전후로 이 땅에서 100만명이 넘는 민간인들이 학살당했다. 어떤 이는 이를 두고 “우리는 거대한 무덤 위에 살고 있다”고 말하지 않던가.

 

   
 
 
그러나 죽음 당한 숫자도 엄청나지만, 더욱 놀라운 건 6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건만 속시원하게 진상규명이 안 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나마 다행인건 비록 수는 적지만 뜻 있는 언론인과 재야 학자들, 그리고 피해유가족들이 힘을 모아 진상규명에 나서고 있다. 최근 이들의 노력들이 열매를 맺었다. 말그대로 ‘진실은 전진하고 있고, 아무도 그 발걸음을 멈출 수 없다’다.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가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실태보고서>를 펴낸 것이다. 처음으로 전국 모든 유형의 학살사건을 집대성한 보고서다.

 

보고서를 넘겨보니 경남 지역에서만 100건이 넘는 집단 학살이 있었다는 통계가 눈에 들어온다.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은 수치다. 통계치를 확인하는 순간 지난 ‘한국전쟁 55주년 기획발표-한국전쟁시기 경남지역 민간인 학살문제’학술발표 행사에서 들었던 어느 발표자의 말이 떠오른다. “경남에서 민간인 학살을 비롯한 과거사 문제가 해결되면 민주화가 완성된다.”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는 <…민간인학살 실태보고서> 한계를 종합보고서이긴 하나, 한국전쟁 전후에 일어난 학살 책임자의 전부는 아니라고 말한다. 그럼에도 <실태보고서>가 나옴으로써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에 대한 큰 얼개는 잡혔다고 본다. 이제 살을 붙이고 진실에 더욱 가까워지는 것은 오롯이 뒷사람들의 몫이다.

무엇을 해야 할까. 우선 도내에 역사 관련 학과를 두고 있는 대학들이 한국전쟁 앞뒤와 연결이 되는 현대사와 이에 따르는 지역사 문제를 더욱 더 파 내려갔으면 좋겠다. 지난해 경남대가 여양리 학살 유해발굴에 나선 것 외에 달리 민간인 학살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곳이 거의 없는 줄로 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안하자면 경남대와 경상대, 창원대의 3개 역사관련 학과가 공동으로 민간인학살 관련 조사를 하고, 자치단체가 지원하는 모양을 갖추면 어떨까.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