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대, 수계 오염물질 잔류실태 조사기관에

하천 바닥에 쌓인 퇴적물 조사를 통해 연도별 오염 물질을 밝혀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결국 마산만도 살릴 수 있다는 주장을 입증하기 위한 연구가 도내대학에서 펼쳐지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12일 경남대학교, 전북대학교, 한국해양연구원 3개 기관을 한강수계권 유기오염물질(POPs) 잔류실태 조사기관으로 선정해 연안이나 갯벌, 지표수, 해저면의 오염 물질을 조사하는 작업을 벌이게 했다. 이 작업을 통해 국가간 오염에 대한 책임을 규정하는 스톡홀롬 조약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99년부터 유기오염물질의 잔류실태를 꾸준히 연구해 수질, 토양, 하천생물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있는 것을 인정받아 조사기관으로 선정된 경남대는 한강 수계권에 있는 하천 퇴적물 표본을 추출해 50여년간의 퇴적물 매핑(maping·지도 그리기)을 만들고 우리나라의 산업화 과정과 여기서 발생한 오염물질을 연구, 산업화 과정과 오염 물질과의 관계를 밝히게 된다.

“연도별 표본 뽑아 오염 해결방안 찾을 것”

대기나 흙, 물 속에 떠돌던 유기오염물질은 하천이나 호수에 쌓이게 되고 이는 다시 바다로 흘러가는데, 5~55년까지 쌓인 것으로 추정되는 퇴적물을 표본으로 뽑아서 연도별 오염물질을 밝혀내고 당시 사용했던 오염물질이 야기했던 환경파괴를 찾아 원인과 해결방안을 규명한다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

경남대 연구진은 이같은 연구를 통해 오염이 진행되고 있는 마산만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낸다는 방침이다.

경남대 ‘연안지역 폐자원 및 환경연구센터’는 이에 함께 인공갯지렁이를 개발해 갯벌을 살리는 방안도 추진중이다. 예를 들어 마산이 산업도시로 부각되던 70년대 마산만은 자유무역지역에서 내뿜는 환경호르몬인 다이옥신(PCB)과 비의도적 생성물질(HCB)등에 의해 오염됐다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인공갯지렁이를 투입하면 갯벌을 살릴 수 있다는 것. 이 연구도 장기적으로는 마산만 살리기에 일조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천 교수 인터뷰>

-연구 책임자로 선정됐다. 연구의 의의는 무엇인가?

△물의 오염된 역사를 산업화 단계와 연관시켜 오염 시기와 물질, 지역을 알아낼 수 있어 환경 오염 파괴의 원인을 분석, 해결책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동안 마산만에 쌓여 있던 오염물질을 밝혀낼 수 있다는 말인가?

△하천에 있던 퇴적물이 바다로 흘러들어 가면서 다시 쌓인 오염물질을 밝혀내는 작업이다. 결국에는 마산만 갯벌 속에는 흘러간 시대의 오염물질이 담겨 있다. 현재 기술로는 100억분의 1g까지도 밝혀낼 수 있어 마산만 갯벌을 조사해 보면 마산만의 오염 역사를 충분히 알 수 있다. 마산만이 어떤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에 여기서 발표하는 것보다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급선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