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은 ‘긍정적’…주민 이해 ‘관건’

세계적인 멸종 위기종이자 보호 대상 조류인 따오기를 우포늪에 되살릴 수 있을까?

여태까지 확인된 대로라면 ‘일단’ 가능성은 높다고 할 수 있다. 사람과 자연이 우리나라 다른 지역보다 잘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 “중국 양시엔현보다 습지·강·산림 등 서식 조건 낫다”

   
 
 
◇중국 따오기 서식지 못지않은 우포늪 생태

먼저 자연 조건. 중국 샨시성 양시엔현 따오기 서식지는 띄엄띄엄 떨어져 있다. 따오기가 밤을 지새우는 마을 뒷동산도 그렇고 먹이를 얻는 개울을 낀 습지와 강가, 그리고 저수지도 둘러볼 때 자동차를 타고 다녀야 할 만큼 뚝뚝 떨어져 있다.

게다가 3월에서 5월에 이르는 봄철에 알을 낳고 품어서 새끼를 까는 번식지는, 따오기 복원 전문가 시용메이 박사의 표현대로 “양시엔현에서 자동차로 두 시간 달려가서 다시 세 시간 가량 걸어서 올라가야 하는” 산 속에 있다고 한다.

하지만 우포늪(소벌) 일대는 그렇지 않다. 람사사이트에 등록돼 국제적으로 보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우포늪(소벌)은 그 자체로 깊은 물과 얕은 물을 갖추고 있을뿐더러 질퍽질퍽한 습지도 곳곳에 흩어져 있다.

시 박사도 이를 두고 지난 6월 마창환경운동연합 초청으로 창녕에 와서 우포늪(소벌)을 둘러보고 난 다음 “따오기 서식지로 삼기에 아주 좋다”는 평가를 하기도 했었다.

여기에 더해 우포늪에서 바로 잇닿아 낙동강 본류가 흐르고 있는데다 따오기가 깃들고 새끼를 품을 수 있는 산림 또한 우포늪(소벌)을 둘러싸고 있는 조건이다.

그러니까 둘레 논이나 밭에 농약이나 화학비료·제초제가 여전히 뿌려지고 있는 점을 빼고 본다면 우포늪(소벌)이 중국 양시엔현의 자연 조건보다 절대 못하지 않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또한 너무 크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중국 양시엔현도 따오기가 발견된지 10년이 지난 91년에야 주민과 정부가 농약 사용 금지 등 협력 협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나라보다 통제가 심하다고 여겨지는 중국에서도 지역 주민과 정부(지방자치단체 포함)가 이견을 좁히기 위해 오랜 기간 갈등을 겪어 왔다는 증거이며 우포늪(소벌)에서도 이 정도 노력은 충분히 들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치단체와 환경단체 의견 다르지 않아


다음으로 사람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올 8일부터 12일까지 이뤄진 이번 중국 따오기 방문은 창녕군과 마창환경운동연합이 합의해 진행됐다. 말하자면 우포늪(소벌)의 생태적 가치가 높음을 인정하고 그 가치를 드높이는 데 따오기의 복원이 필요하다는 공동 인식이 있었다는 것이다.

군·시민단체 주도만으로는 한계…지역민 함께 주체로 나서야

다만 환경단체는 생태 관련 문제를 전문으로 하다 보니 지식과 견해가 좀더 넓고 깊으며, 반면 자치단체는 지역 주민들의 이해관계를 살펴야 하기 때문에 행여라도 생활상 어려움이 따오기 때문에 생기지나 않을까 걱정할 수밖에 없다는 정도가 차이라 할 수 있다.

물론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지역 주민을 바로 주체로 내세우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 또한 따오기의 우포늪(소벌) 복원 노력이 이제 막 걸음을 뗀 수준밖에 되지 않음을 이해한다면 그리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창환경운동연합 이인식 의장은 “우포늪(소벌) 지역 주민들의 이해와 협력이 없으면 따오기 복원은 할 수 없다”며 “이번에는 환경단체와 공무원만 다녀왔지만 다음에는 주민들이 중국 따오기 서식지를 몸소 둘러보고 인식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경기·충북·대전 등도 따오기 복원 바라

하지만 이처럼 따오기를 되살리려는 데가 창녕군뿐만이 아니라는 점도 아울러 알아둘 필요가 있다. 생태관광과 특화된 친환경농업 등으로 환경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따오기 복원이 값나가는 일임을 알아본 자치단체가 여럿 되기 때문이다.

지난 8월 중순 경기도는 고양시에서 ‘2005 비무장지대 포럼 국제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국제두루미재단 아치볼트 이사장은 “비무장지대를 자연 그대로 보존하는 방안을 마련해 두루미를 비롯한 희귀새의 월동지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경 검토·주민 협력·청정 농업실천 순 ‘장기적 진행’ 바람직

우포늪(소벌)의 생태 가치를 높게 쳤던 중국의 시 박사도 이 회의에 참석해 “안식처와 먹이 등을 갖추면 인공 번식시킨 중국 따오기를 살게 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국에서 이미 멸종된 따오기를 비무장지대에 되살리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경기도 손학규 지사도 실무진에게 그 가능성을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한국교원대학교 황새복원센터가 있고 미원면 일대에서 황새 복원 서식지를 조성하고 있는 충북 청원군도 한국교원대와 손잡고 황새에 더해 따오기까지 복원하는 계획을 모색하고 있다.

따오기와 황새는 모두 논에서 먹이를 얻는다거나 농가 주변 동산에 잠자리를 마련하는 등 공통점이 비교적 많다는 데에 착안한 것이다.

또 올해 종(種) 보존센터를 착공할 계획인 대전시도 따오기 복원에 나서겠다는 뜻을 지난달 2일 밝혔다. 대전시는 65억원을 들여 2008년까지 대전동물원에 종 보존센터를 세우기로 하고 문화재청의 협조 아래 따오기를 비롯한 멸종 위기에 빠진 새 21가지를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따오기 복원을 무작정 서두를 수는 없다. 조건이 되는지를 한 번 더 차분하게 따져봐야 하며 지역 주민들의 이해와 일치시킬 수 있는지도 검토해야 한다.

그래서 필요하고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면 더욱더 주변 환경을 가꾸고 친환경농업을 적극 실천해 따오기가 깃들 수 있도록 하면 된다. 결정 시기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