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대책안에 반발하는 주민들 10일 대응방안 논의

3년째 해마다 여름이면 물가파리로 고통받고 있는 진해시 웅천동 일대 주민들이 10일 전체회의를 열고 대응책을 마련키로 해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또 해양수산부는 고신대 이동규 교수팀을 비롯해 위해해충 방제 전문 기관에 의뢰해 이미 8일부터 현장조사를 벌여 9일에는 시범 방제를 하는 등 대응하고 있어 방제결과 역시 주목받고 있다.

▲ 준설토 투기장 1공구에 새까만 띠를 이루고 떠 있는 물가파리떼.
진해수협 소멸어업인 생계대책위원회(위원장 김종민)은 10일 오후로 예정된 임원회의 결과에 따라 이후 대응 방안을 찾아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괴정마을을 중심으로 한 주민들의 정서는 집단행동으로 공사를 막아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강경해 이후 집회·시위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

이들은 8일 해양수산부에 공문을 보내 방제로 인한 부작용이나 2차 오염 같은 일이 생긴다면 해수부 장관부터 해당 국장까지 연대해서 책임진다는 각서를 요구했다. 내년에 다시 해충이 창궐하게 된다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법으로 책임을 물을 것이라는 의지를 내보인 것이다.

△현장 상황

진해시 웅천동 괴정마을과 수도 사이에 놓여있는 준설토 투기장에는 9일 오후 현재 물가파리떼가 물 위에 앉아 거대한 띠를 이루고 있었다. 무더위가 한풀 꺾였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물가파리 떼가 줄어들지 않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다 수온이 낮아지면서 깔따구 떼가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나고 있어 이 일대 주민들이 겪는 고통은 여름철보다 더 심해졌다.

실제 한국위생곤충연구회 김현두 연구실장은 “물 속에 있는 물가파리 유충이 모두 성충이 될 때까지는 물가파리가 줄어들지 않을 것이며 8월에 비해 깔따구 유충이 단위면적당 30~40배로 늘고 있다”고 말했다.

“성장억제제 살포, 최선 아니다”

특히 물가파리는 바람이 불지 않으면 마을로 날아들지는 않지만 깔따구는 불빛을 보고 모여드는 성질을 갖고 있어 밤이면 가로등 불빛이 흐려지고 집 벽이 새까맣게 될 정도로 마을로 몰려들고 있다.

△방제는 어떻게 하나

8일부터 바다 해충 방제가 시작됐다. 이번에 곤충 성장억제제인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을 뿌릴 준설토 투기장 1공구 쪽에 대한 실태 조사를 마쳤으며 9일 오후에는 실제 약품을 시범 살포했다. 본격적으로는 오는 12·13일 이틀동안 살포할 예정이다.

이와는 별도로 2공구 쪽에는 약품을 뿌리지 않고 그대로 두어 양 쪽을 비교해 내년에 다시 해충이 발생할 때의 방제 대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이번 방제에는 약품 살포 뿐 아니라 갈매기나 제비 같은 새와 곤충이 유충을 어떻게 포식하는지까지도 관찰할 계획으로 준설토 투기장에 물을 가둬두고 있다. 물이 없으면 바다새가 투기장에 내려앉지 않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번에 뿌릴 피리프록시펜은 곤충의 유충을 죽이지는 않지만 번데기로 되는 것을 막아 성충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고 이동규 박사가 말했다. 특히 한번 약을 뿌려 놓으면 45일간에 걸쳐 서서히 약효가 물에 녹아나기 때문에 올해 안에는 다시 방제할 필요도 없다.

김현두 실장은 “물가파리 유충은 물 속에 떠 있는 조류를 먹이로 하지만 깔따구 유충은 뻘 속에 있는 유기물을 먹이로 한다”며 “깔따구 유충을 모두 죽여버린다면 오히려 준설토에 있는 유기물이 썩게 되고 비라도 오면 바다로 흘러들어 적조 발생을 확대시킬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결국 곤충 성장억제제가 현재 할 수 있는 최선의 방책이라는 설명이다.

△주민 대응

주민들은 해수부의 이런 조치를 근본적으로 믿지 않고 있다. 해충 방제보다는 내년 초 북항 3선석을 조기 개장하는데만 관심이 있고 공기를 맞추기 위해 실질적인 방제대책보다는 주민을 설득하려는데 힘을 쏟고 있다는 것이다.

오늘 대책위 회의 대응책 마련

그래서 지난달 31일 열린 설명회에서도 △약품의 안정성을 주민과 함께 검증 △방제기간 동안 준설토 투기공사 중단 △환경피해 관련 약정 체결 후 공사 재개 등을 요구했던 것이다.

특히 지금까지 입었던 피해 보상은 물론, 신항 공사로 인한 어업피해를 보상하기 위해 맺었던 약정에 따라 환경피해와 주민 고통을 보상하는 새로운 약정을 체결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결국 10일 열릴 예정인 주민 대책위 임원회의 결과와 다음 주 초 성장억제제 살포 결과에 따라 이 문제가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