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신문발전위원회는 지난 19일 지역 언론 활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지원할 5개의 지역일간지를 발표하였다.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발표는 비록 그 과정에서 상당한 우여곡절이 있긴 하였지만, 지역사회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그나마 다행스러운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신문시장에서 서울 소재 거대언론사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 말해주고 있듯이, 지역사회에서 공론의 장으로 역할하고 있는 지역 언론의 입지는 축소일로를 면치 못하고 있다. 자본력이 취약한 지역일간지가 이른바 주류 언론이라고 불리는 거대신문사와 경쟁을 하려고 마음먹기 조차 어려운 현실을 더 이상 묵과하고 방치할 경우 지역사회의 여론형성은 어쩌면 바위에 계란치기와 같은 ‘만용’과 ‘우둔’의 극치에 불과할 것이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여론을 담을 공적인 기관이 존립의 위기로 내몰린다면 민주주의의 위기역시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왜냐하면 민주주의가 제대로 운용되려면 가장 낮은 단위인 지역사회의 여론형성은 필수불가결하기 때문이다. 지방사회와 중앙의 여론이 항상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것은 전체주의 체제에서나 가능할 뿐이다. 또한 지역사회의 균형발전은 건물, 도로, 교량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건설만을 의미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지역사회가 자주적으로 존립할 수 있는 궁극적인 근거는 눈에 보이는 외형적인 조건이 결코 아니라,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지역사회의 숨겨진 내적 구조라는 점이다. 그 동안 지역일간지들에게 지역사회 토호세력들의 방패막이라는 비난까지 가해졌던 것도 바로 이 점 때문이다. 하지만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발표는 지역일간지 중에서 옥석을 구분하는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사회에서 민주적 여론형성을 위해 노력해 온 지역일간지를 선정하여, 이들에게 재정적 지원을 하는 제도는 분명 필요하다. 이런 제도를 두고 정부의 개입에 의해 여론왜곡현상이 심화될 것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도 물론 나올 수도 있지만, 이 주장은 현실을 오도할 뿐이다. 왜냐하면 젖먹이 어린애와 성인이 달리기 경주를 하는 게 정상적인 경기라고 할 수 있을지 의문스럽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말해 지역 언론을 무시하면 민주주의의 위기는 피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논설위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