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단체마다 경제살리기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내면을 들여다 보면 말로만 헛구호에 그치는 사례들이 다반사다. 경제살리기는 말로만 되는게 아니라는 것쯤은 주민들도 잘 알고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뭔가 색다른 아이디어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행정당국에서 할 수 있는 특별한 대응책은 뭘까. 다름 아닌 주민과 관공서가 함께 할 수 있도록 큰 물꼬를 열어주는 역할이다.

자치단체는 앞선 아이디어를 개발해, 기업을 유도하고 기업은 행정을 믿고 뒤지지 않는 제품을 만들고, 서민들은 제품을 신뢰, 구매할 때 가능하다. 여기에다 수출까지 확대하면 금상첨화다. 자치단체에서 기업체들의 수출판로 개척을 위해 매년 지역 유망업체들을 대동해 해외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사례로 칭찬할만한 일이다.

하지만 이 역시 외국 어느 지역에서 몇 천, 몇 만 달러 어치의 수출계약을 체결했다는 등등의 떠벌리기식 실적위주에 그칠 뿐, 내실은 빈약한 편이다.

양산시가 이 같은 유형의 실천 가능한 경제모델을 접목, 전 부서가 지역경제 살리기에 초점을 맞춰 내실 있게 추진해 호평을 받고 있다.

시는 기업체들의 물류비용을 덜어주기 위해 20억원을 들여 공단일대와 시가지 165개소의 교통체증 구간을 정비해 해결했고, 활용성이 떨어지는 보도는 차도로 전환, 기업인들의 최대 고민이었던 교통문제를 속시원히 해결해 주었다.

기업체에서 공무원을 호출하면 언제든지 찾아가 애로점을 해결하는 전문공무원 기업출장 제도도 인기다. 지역 내 건설중인 공사현장에는 지역업체 참가 확대와 양산지역 생산자재 구매, 소규모 시설공사 지역업체 수주 요구 등은 시의 새로운 지역경제 활성화 모델로 부상하고 있다.

요란한 겉치레보다는 적지만 실천 가능한 양산시의 경제 활성화 방안이 기업과 주민들에게 먹혀들고 있다. 경제살리기는 자치단체마다 특성 있는 모델을 마련, 지역챙기기에 나설 때 가능하다. 내 집에 난 불은 물이 깊다고 해 멀리 있는 태평양 물로 진화할 수 없다는 논리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