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위와 함께 학교급식 수난시대가 시작됐다. 벌써 진주와 밀양 등 몇몇 지역 학교에서 터져 나온 사례들을 볼 때 조짐이 심상치 않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해마다 이맘때면 학교급식을 담당하는 식품위생직 종사자들의 한숨소리가 높다고 한다.

교육인적자원부도 8일 하절기 학교 식중독 예방 비상체제 돌입을 선언하고 나섰다. 6월 한달 동안 학부모 및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급식학교에 대한 ‘특별점검’을 진행한다는 게 요지다.

숫자를 통해 전달되는 교육부의 예방 의지는 일단 높다. 학부모와 시·군·구청의 명예식품위생감시원 등과 합동으로 연인원 6000여명을 동원해 한달 동안 전국 2000여개 학교에 대해 일제히 ‘특별’점검을 한다니 말이다.

그런데 ‘특별점검’ 지침을 전해 받은 교육청과 일선 학교 관련 종사자들의 반응은 전혀 ‘특별’하지 않다. 오히려 일선 학교 급식담당자들은 “하루라도 비상체제가 아닌 적이 있는 줄 아냐”고 반문한다.

관할 책임을 지는 도교육청도 ‘특별’이라는 말에 냉소적이기는 마찬가지다. 이미 경남도교육청의 경우 식중독 등 학교급식사고 예방을 위한 정기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교육부의 지침대로 하자면 정기점검 하는 중에 한정된 인원으로 특별점검을 겹쳐 진행해야 하는 꼴이다.

그렇다면 특별점검에는 정기점검과 다른 뭔가 ‘특별한 것’이 있을까. 도교육청 담당자의 대답은 “그다지 새삼스러울 것은 없다”였다. 오히려 교육부 특별점검, 식약청 특별점검, 도청 특별점검 등 주체를 달리해 수시 때때로 특별점검이 진행되다 보니 모자란 인력에 한계만 느낀다는 것.

그렇다고 눈에 보이든 눈에 보이지 않든 특별점검의 효과를 전혀 무시할 수는 없다. 점검을 통해 학교급식 사고를 100% 예방할 수 있다고도 생각지 않는다.

다만 해마다 비슷한 시기에 되풀이되는 비슷한 대책은 ‘의지의 빈약’으로밖에 읽히지 않는다. 동일한 처방에 약발이 미심쩍다면 진단부터 새로 해볼 필요가 있다. 고기를 잡는 방법에 낚시만 있는 것은 아니지 않는가.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