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창원 8개 시내버스회사의 노사가 임금 및 단체협상을 10차례나 벌였지만 끝내 결렬됐다. 노조는 14.5% 임금인상에다 정년연장(57세에서 60세로)·대학생 자녀 학자금 제공 등을 요구한 반면, 사측은 경영난을 이유로 딱 잘라 불가능한 일이라고 일축했으니, 서로의 입장만 내세운 셈이다. 노조는 파업을 결의했고, 어제의 지방노동위원회 중재마저 소득없이 끝났다. 예견됐던 일이다.

평행선의 끝은 파업이다. 해마다 되풀이되어 온 수순이다. 6월 파업예정소식을 들은 시민들조차 ‘짜고치는 고스톱아니냐, 지겹다’한다. 시내버스가 시민을 위한 것인지 버스회사와 노조를 위한 것인지 궁금하다고까지 일갈한다.

그럴 만도 하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지난 가을부터 올 3월까지만 봐도 파업, 카드요금인상안 논란, 심지어 마산버스노조의 취업비리 까지 좋은 소식이 없다. 지원금은 지원금대로 받으면서도 버스결행한다고 언론에서 지적을 해도, 이렇다할 대책도 내놓지않았다. 무책임하기 이를데 없다.

더구나 지금이 어느 때인가. 당장 6월 1일부터 노선 통폐합, 시내버스 전용차로제, 무료환승제, 마산·창원 단독배차 등을 골자로 한 대대적인 개편을 앞둔 시점이다. 아직 홍보도 덜 된 마당에 노선전면개편과 파업을 겹쳐놓겠다니, 시민을 얼마나 우습게 아는 처사인가.

매번 시민불편만은 없도록 해야한다고 버스업계와 행정기관의 노력을 촉구하는 일도 지겹다. 구조적인 문제가 해결되지않고는 입만 아픈 일이다. 타 지역의 준공영제도입과 같은 사례를 눈여겨 살펴보라고 권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완전공영제는 무리가 있더라도 준공영제는 적극 검토할 만하다는 의견도 많다.

오는 10월 준공영제를 시행하게 되는 대구는 운행관리시스템(BMS)도 갖췄다고 한다. 시와 버스회사간 양방향통신이 가능해져 배차간격 미준수, 결행 등의 불탈법행위도 획기적으로 줄 것이라고 관계자들은 전망한다. 투명한 외부회계감사도 받는단다. 시스템구축엔 물론 돈이 든다. 하지만 우리처럼 파업 무서워 지원금퍼주는 것보다는 훨씬 나을 것이다. 문제의 뿌리는 보지않고, 아니 어쩌면 알면서도 외면하면서, 단기처방한다고 고질병이 낫겠는가.

/논설위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