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단체, 강도 높은 투쟁 조짐

언론노조 “방송위 해체” 촉구 지역방송협 “참여 거부” 선언

방송위원회(위원장 노성대)가 사실상 위성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지상파재전송을 허용함에 따라 방송관련 단체를 비롯한 언론계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지난 19일 방송위는 위성DMB의 지상파재전송과 관련 방송사업자간 자율계약을 전제로 재송신약정서 체결을 통해 재전송 승인 신청시 방송법령에 따라 승인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지상파 재전송을 반대해온 전국언론노조(위원장 신학림)는 방송위원 사퇴, 해체 등의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언론노조는 지난 21일 성명을 통해 방송위의 위성DMB의 지상파재전송 허용 결정에 대해 “통신재벌의 방송진출 야욕을 왜 시초부터 꺾어버리지 못했는가? 이제 방송의 공공성과 공익성은 어찌 지켜낼 것인가? 수년 내에 비틀어 말라죽고야 말 지역방송, 일터를 잃고 거리를 떠돌 언론동지들의 모습이 떠오르지 않는가?”라고 성토했다.

이어 “본격적으로 방송을 침탈하는 통신자본과의 한판 전쟁에 앞서, 그 통신자본에게 영혼을 팔아치운 방송위원회를 응징하고 해체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은 지난 20일 ‘재전송 결정 취소하라’는 논평을 통해 “무료 보편적 서비스인 지상파 방송이 위성DMB사업자의 상업적 이익에 이용되고, 그나마 지켜왔던 방송권역을 무용지물로 만들어 고사직전의 지역방송을 아예 회생불능의 상태로 몰아 넣는 것”이라며 “결국 방송의 공공성에 치명적인 위해를 가할 수 있는 결정을 방송정책의 주무기관인 방송위가 내린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와 한국방송기술연합회도 방송위 해체 투쟁을 선언했다.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는 지난 20일 성명을 통해 “시청자와 방송을 지켜야할 방송위가 자본에 방송의 공익성을 팔아 넘긴 파렴치한 행위를 자행한 것”이라며 “방송정책권을 스스로 포기한 방송위는 더 이상 방송을 위한 기관, 시청자 권익과 우리 사회의 공익을 위한 기관이 아니다”고 방송위 해체를 촉구했다.

한편 지역방송협의회는 △방송위가 제안하는 지역방송지원책 전면거부 △방송발전기금 납입거부를 포함한 방송심의 거부, 모든 자료제출 거부 △DTV 추진일정 전면중단 △지역 지상파 DMB 참여 전면거부 △재허가 심사거부 등을 추진해 지역방송 폐쇄, 허가취소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DMB 서비스란?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 Digital Mutimedia Broadcasting)이란 이동 중에도 휴대전화나 차량용 단말기 등을 통해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방송을 제공받는 서비스다. 움직이면서 TV나 라디오를 볼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교통정보·내비게이션·전자상거래증권정보 등 휴대전화를 통해 이동통신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DMB는 지상의 방송송신탑을 통해 전파신호를 보내는 지상파DMB와 위성을 통해 보내는 위성DMB로 나뉜다.

△위성DMB = 인공위성을 통한 오디오 서비스에 TV와 데이터방송을 부가해 발전시킨 모델이다. 이 같은 위성DMB는 1998년 일본 내 위성DMB 컨소시엄(MBCo) 설립 후, 2001년 SK텔레콤이 MBCo에 150억원 지분투자로 2대 주주로 참여하면서 비롯됐다. 이후 2002년에 국내 사업추진이 시작됐다. 위성DMB는 민간기업이 자체 주도한 신규 방송사업으로 SK텔레콤이 포화상태인 국내 통신시장에서 새로운 수익구조를 만들기 위해 준비한 부가서비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