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4월 7일 ‘신문의 날’은 몇 가지 관점에서 신문인과 독자들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대다수 독자들은 ‘신문의 날’이 있는지조차 관심이 없고 신문기자들은 신문위상의 변화에 대해 실망과 좌절, 불안해하고 있는 것 같다.

신문인들이 실망하는 것은 지난 400여 년간 ‘매스컴의 총아’로 각광받던 신문의 독점적 위치가 이제는 인터넷 등 뉴미디어와 방송 등으로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좌절하고 불안해하는 것은 어느 특정국가에서 이런 변화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전세계적인 신문독자감소와 젊은층의 신문매체에 대한 외면에 뚜렷한 대책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신문독자 감소 세계적 추세

국내로 시선을 돌리면 상황은 더 어렵다. 정파적 이해관계에 따라 신문논조가 독자를 외면했고 자사이기주의에 함몰된 지면제작은 스스로 권위와 신뢰도를 침몰시켰다. 지면제작에 따른 독자의 자발적인 선택보다 무가지와 불법경품으로 독자들의 구독을 강요했다.

특히 자본력을 바탕으로 중앙지들은 지방지의 지역신문시장마저 초토화시켰다. 기술력과 편의성, 쌍방향 시스템에 바탕을 둔 새로운 매체의 강력한 부상은 신문시장을 위협했지만 변화를 거부하며 눈앞의 독자확보, 부수 1등에 집착하는 양상을 보였다.

선거철만 되면 교묘한 줄서기, 밀어주기 등으로 여론몰이에 나서곤 했다. 자사 사주의 불법행위를 독자들은 알아도 정작 기자들은 보도 한 줄 내보내지 못하는 신문에 대해 신뢰를 갖게될 것이라는 기대는 구시대적 작태로 비난받게 될 것이다.

2005년 7월부터 시행에 들어갈 신문법과 언론피해구제법 등은 신문의 제작관행 개혁, 기본적인 경영정보 공개, 내적 쇄신 등을 법적으로 강제하고 있다.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은 지방신문의 옥석을 구분한 차별적 지원을 통해 지역신문의 재정리 작업을 하겠다는 것이다.

이처럼 자율 규제를 상실한 신문시장에 대해서 타율적인 개입을 통해 공정한 게임의 룰을 만들고 신문위상을 재정립하려고 하지만 정작 중앙지와 지방지들은 어떤 자발적인 혁신과 노력을 기울이는지 미지수다.

일부 중앙지들이 불법경품과 무가지로 지방신문시장을 공략해도 지방지들은 연대하여 저항 한번 제대로 하지 못했다. 그나마 지방지의 면모를 지키고 있는 대구와 부산지역도 중앙지의 시장잠식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중앙지의 미래가 불투명한 것보다 지방지의 미래가 더욱 불확실하다.

인터넷 서비스 연구 서둘러야

기술 발달은 신문구독 행태를 바꿀 것이라는 차원에서 미국도 영국도 신문독자분석과 이에 걸맞은 인터넷 서비스 개선을 위해 심혈을 쏟고 있다. 인터넷 신문서비스를 더 이상 보완매체 정도로 간주하던 시대가 지나고 있다. 대안매체로 자리매김하는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지방신문의 연구와 개발은 당장 서둘러야 할 숙제가 되고 있다.

또한 의제설정기능에 관한한 여전히 강세를 보일 기존 오프라인 신문의 강점을 어떻게 유지해나갈 것인가에 대한 연구도 병행돼야 한다.

지방신문의 경우 그동안 지방자치제의 실시와 함께 지역민에게 어떻게 정보서비스와 독자불만처리시스템을 개발할 것인지 역시 현안으로 남아있다. 지방신문사 사주나 기자들이 여전히 지방의 작은 권력을 행사하고 독자 위에 군림하는 듯한 취재와 지면제작 행태로는 미래가 없다. 과거의 독자와 현재의 독자는 정보화라는 차원에서 확연하게 다르다. 정보화된 독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도록 지면제작이 이뤄져야 한다.

무엇보다 기자의 최소한의 자존심도 지켜줄 수 없는 봉급으로 언론인의 위상을 초라하게 하는 신문사는 문을 닫든가 통폐합을 통해 위상을 제고하든가 선택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초라한 공멸은 불문가지다.

신문시장이 위기라고 하면서도 새로운 신문사들이 창간되는 불가사의를 기자들조차 시장논리로는 이해하지 못한다. 그런 신문시장의 비정상성이 한국신문의 위기를 심화시켰고 이제 그 선택을 강요받고 있다.

/김창룡(인제대 언론정치학부 교수)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