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임천강과 가야산 홍류동 계곡에 녹조가 발생하여 지천 수질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임천강에 녹조가 발생한 원인은 남원시 동부 4개 읍·면에서 배출되는 축산폐수와 생활오수로 추정되고, 홍류동계곡은 녹조와 더불어 백화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이는 이미 예정된 오염사태이다. 잘 알려진대로 우리나라 산간계곡의 곳곳에는 축산단지와 대규모 유흥시설이 산재해 있어 기온이 상승하고, 수량이 줄어드는 봄철이 되면 해캄 같은 녹조류가 급속히 발생해왔다.이번에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된 임천강과 홍류동계곡 뿐만 아니라 지리산을 비롯한 낙동강 수계를 역으로 추적하면 지금도 수 십 군데 이상의 샛강에서 녹조현상이 일어나고 있을 것이다.

이것은 그 동안 정부의 물관리 정책과도 연관지을 수 있다. 낙동강을 비롯한 대도시의 식수원을 중심으로한 수질관리 정책에 치우쳐 청정지역인 상류계곡의 오염에 대한 사전대비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더구나 지자체가 농가소득 증진의 일환으로 축산진흥정책을 쓰면서 사실상 지천 주변의 축산오염에 대한 규제나 각종 오폐수 시설 건립에 등한시한 결과가 이제는 산간계곡조차도 각종 오염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결국 오염처리 비용도 문제지만, 한번 망가진 지천에는 물고기를 비롯한 물 속 곤충 등의 먹이 사슬이 파괴되면서 어패류도 사라지고, 야생동물도 줄어들면서 훌륭한 생태관광자원까지 잃어버리게 된다. 그래서 환경선진국의 경우, 지천을 보전하기 위해 함부로 야생 미나리 채집도 못하게 하고, 심지어 물경찰이 조직되어 수질보전에 최선을 다한다. 일본의 사가현만 해도 하천의 갈대나 버드나무 등을 특별히 보호하며 훼손시에는 무거운 벌금까지 매기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 오염사고가 터지면 그때서야 환경부를 비롯한 지자체의 환경담당 공무원들이 현장에서 주민들과 사고 수습을 논의하는 정도이다. 이번에도 30여명의 환경관계자들이 모여 개선방안을 마련한 것을 보면 정부차원에서의 수계관리 일원화 정책검토와 축산폐수처리장 조기 착공 등 4개항에 걸쳐 오염재발 방지책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주목할 것은 농어촌 주민들의 생활 방식이 과거에는 분뇨를 수거하여 오염 물질을 대부분 자체 처리하였지만, 지금은 수세식으로 바뀌면서 질소와 인 등의 오염물질이 마을계곡으로 유입되고 있다. 그리고 축산분뇨의 처리도 퇴비로의 재활용을 철저히 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도 시급한 실정이다. 하루빨리 이런 것들에 대한 올바른 대책이 설 때만 산간계곡의 지천도 살아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