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증산’ 위주로 일관되게 추진돼온 우리나라 양곡정책이 ‘양보다는 질’을 중시하는 쪽으로 선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쌀 생산을 위주로 하는 농가는 그동안 생산량 증대에 초점을 맞춰온 영농 방향을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쌀을 생산하는 ‘미질’ 위주의 정책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농림부는 25일 국내의 경우 5년 연속 풍작이 이뤄지면서 내년도 살 재고량이 적정선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는데다 최근 쌀 소비량도 감소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양곡정책의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농림부는 이를 위해 품종과 산지를 차별화할 수 있도록 수매제도를 보완하고 우수 품종을 개발, 종자로 공급하는 한편 친환경농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정책을 통해 고품질 쌀 생산을 유도할 방침이다.

우리나라 1인당 쌀 소비량은 지난 96년 104.9㎏에서 99년 96.9㎏으로 줄어든 반면 5년째 지속된 풍작으로 2001년 양곡재고량은 적정선인 600만~800만가마를 크게 웃도는 1100만가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같은 쌀 재고량 증대는 쌀을 비축, 보관하고 있는 민간 미곡종합처리장(RPC)의 경영악화는 물론 쌀 생산농가의 어려움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 농림부 최도일 식량생산국장은 “96년의 경우 쌀 재고량이 169만가마까지 떨어진 적도 있었고, 남북 대치라는 특수여건을 감안할 때 안정적인 쌀 재고 확보는 필수적”이라고 밝힌 뒤 “안보적 측면에서 쌀에 대한 안정성은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된 만큼 효율적인 양정수행을 위해 방향전환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